고금리와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장바구니 물가뿐만 아니라 외식 물가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비교적 대중적이고 저렴해 '서민 음식'으로 분류됐던 음식마저 가격이 오르면서 '서민 음식'이라는 말도 무색해졌다.
인건비·공공요금·식재료 비용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책정되는 외식 물가는 김밥, 김치찌개 백반, 칼국수 할 것 없이 대부분 가격이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1인분 기준 전북지역에서 판매되는 김밥 평균 가격은 3010원, 김치찌개 백반은 8600원, 자장면은 6300원, 칼국수는 8400원이다. 나머지 주요 외식 품목인 냉면은 9200원, 비빔밥은 1만 1290원, 삼겹살(200g)은 1만 5729원, 삼계탕은 1만 6500원이다.
일 년 전인 2022년 12월과 비교해 김밥은 7.9%, 김치찌개 백반은 3.0%, 칼국수는 3.7%, 냉면은 5.7%, 비빔밥은 9.1%, 삼계탕은 5.8% 오르고 자장면은 1.6%, 삼겹살은 0.3% 소폭 내렸다.
'참가격'의 공시 가격은 지역에서 판매되고 있는 외식 품목의 평균 가격이다 보니 소비자가 현장에서 체감하는 외식 물가 부담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23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19세 이상 가구 60% 이상이 재정 상황이 악화될 경우 외식비부터 줄이겠다고 답했다. 뿐만 아니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전북지역의 경우 지난해 12월 기준 음식·숙박 소비자물가지수는 2022년 12월과 비교해 3.7%(113.39→117.6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100을 넘으면 물가 수준이 높다고 해석하는 점을 감안하면 점점 물가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외식 물가의 특성이다. 외식 물가의 경우 한 번 오르면 내리지 않는 특성이 있어 올해는 더욱더 외식 물가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소비자 박현중(42) 씨는 "가족들과 밖에서 밥 한 번 먹으려고 하면 5만 원은 기본, 10만 원까지 생각해야 하는 것 같다. 외식 물가만 오른 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물가가 많이 올라서 외식하자고 말하기가 조금 고민되는 적도 한두 번 있었다. 더 오른다고 하면 조금 번거롭더라도 집밥을 해 먹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