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국회의원 지역위원장·당협위원장 사퇴 규정 강화 필요”

국민의힘 207명 당협위원장 일괄사퇴 의결
당원 명부 접근권 등 지역위원장 경선서 유리한 위치
민주당에서도 당헌당규에 따라 총선 4개월 전 지역위원장 사퇴
민주당 공천이 곧 당선인 전북에선 지역위원장 자리 더욱 민감

연합뉴스 자료사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모두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전국 지역위원장과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이 일괄 사퇴했다. 그러나 현역을 제외한 총선 출마 예정자들 사이에선 “선거 3~4개월 전이면 이미 지역위원장이나 당협위원장 지위를 충분히 다 활용하고 선거 준비를 마칠 시점”이라면서 공천 형평성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규정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당헌·당규를 통해 지역위원장 또는 당협위원장이 공직선거에 출마하는 경우 위원장직에서 사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그 시기가 총선을 직전에 둔 시점이라는 게 맹점으로 꼽힌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18일 국회에서 열린 회의에서 사고 당협 46곳을 제외한 207명 당협위원장의 사퇴안과 공천심사 기준안을 의결했다.

이번 의결은 총선을 앞두고 공천의 형평성, 경선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한 조치라는 게 국민의힘의 설명이다.

실제로 당협위원장은 당원 명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당협위원장이 아닌 예비후보들은 명부 열람이 불가능하다. 또 당협위 소속인 지방의원들이 당협위원장인 현역 국회의원의 선거를 돕는다는 것은 공공연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런 점은 당원들의 참여가 결정적인 내부 경선 과정에서 당협위원장이 아닌 예비후보들에게 매우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해 12월 10일자로 지역위원장 사퇴를 마쳤다. 민주당 당헌·당규는 차기 총선일 4개월 전 지역위원장직을 사퇴하도록 하고 있어 전북지역 10개 지역위원회 위원장 중 총선에 출마하지 않은 이병철 전주을 지역위원장 권한대행을 제외한 9개 지역위원장이 사퇴했다.

사퇴한 현역 의원은 전주갑(김윤덕 의원), 전주병(김성주 의원), 익산갑(김수흥 의원), 익산을(한병도 의원), 군산(신영대 의원), 김제·부안(이원택 의원), 정읍·고창(윤준병 의원), 완주·진안·무주·장수(안호영 의원) 등 8명이며,  이번 총선에 예비후보로 등록한 남원·임실·순창의 박희승 지역위원장도 그 대상이다.

국민의힘의 경우 정운천 전주을 당협위원장이 자동적으로 사퇴했다.

도내 현역의원들이 지역위원장 사퇴 시기에 앞서 지난해 의정 보고대회에 신경을 쓴 것도 사퇴 시한 전 지역위원장으로서 프리미엄을 노린 것이다.

전북정치권에선 적어도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반년 전엔 지역위원장 사퇴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많다. 가뜩이나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공천에 대응하려고 하니 정치신인이 설 자리가 없고, 이는 전북 정치의 낙후로 이어진다는 호소다.

실제 지역위원회 조직이 끈끈한 것으로 알려진 도내 선거구의 경우 현역의원에 도전장을 던진 예비후보가 1명 이하인 곳이 적지 않은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전북정치권 관계자는 “중진출신이 아닌 총선 출마 예정자들은 이미 인지도와 여러 부분에서 프리미엄을 안고 있는 현역 국회의원과 경쟁할 수 있는 토대가 거의 없다”면서 “지역위원장인 현역의원이 지방의원들까지 암암리에 지휘하는 작금의 현실에서 정치신인의 싹이 말라죽는 게 전북 선거판의 현실”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