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너를 작약(作約)으로 읽는다
이루지 못한 언약
얼마나 많이 괴로웠나
봄을 어긴 적 없는 꽃
혁명을 부르짖다
단두대에 목을 넣고
쓸쓸히 죄를 청하는 전사처럼
떨어진 꽃잎 진하고 아름답다
약속을 깨고
아직껏 용서받지 못한 죄
올봄도 그 부끄러움
작약밭에 심었다
예쁜 약속 하나 갖지 못한
가난한 삶
그 잘못이 실로 크니
작약꽃밭에서
피 묻은 파약(破約)을 생각한다.
△ 작약꽃은 활짝 피어 ‘환호작약’한다. 꽃 중의 꽃, 봄날의 환희여서, 흔희작약’ 할 줄 안다. 비록 땅속에 뿌리가 묻힌 삶이지만, “봄을 어긴 적 없”이 약속을 지켰으므로 피어있는 시간 동안은 ‘부추작약’으로 생을 즐기리라. ‘작약’하는 “작약꽃밭에서” “作約”을 생각하고 마침내 “피 묻은 破約”에 이르는 시적 화자의 고백이 못내 쓸쓸하고도 비장하다./ 김제 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