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에 나설 후보자들의 윤곽이 구체화되면서 도내 격전지 마다 후보자들 간의 유례없는 격돌이 예상된다. 본격적인 선거전에 앞서 이미 후보자들의 감정싸움이 격화되고 있는 분위기다.
지역정치권에서 꼽는 도내 총선 격전지는 전주을, 전주병, 익산갑, 군산, 정읍·고창 등 모두 5곳으로 지난 21대 총선 기준으로 절반 수준이다. 3개 정당 소속 후보자간 격돌, 중진 출신 전직 의원과 현역 의원과의 리벤지 매치 (revenge match), 현역 의원간 경쟁이 치열해 당내 경선과 총선 결과에 따라 이들의 정치 인생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국회의원 선거구 1석이 더 줄어든다면 도내 격전지 양상은 역시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선거구 획정 결과에 따라 지역구 현역 의원 간 혈투가 벌어질 수도 있다. 전북일보는 총 다섯 차례에 걸쳐 전북 총선 격전지 상황을 분석해본다.
오는 4월 10일 총선에서 전북 선거판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 번째는 더불어민주당 공천에 대한 의존도 심화, 두 번째는 용퇴 없는 벼랑 끝 생존형 선거, 세 번째는 정치 인재발굴의 한계다.
이번 총선에서 '매운 경선, 싱거운 본선' 공식이 이어질 지 관심사다. 중앙 정치권에서 거대 정당 독식 구조를 깨려는 신당 창당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이다.
전주을은 국민적 이목이 집중될 정도로 관심을 끄는 도내 최대 격전지로 분류된다.
지난해 4월 재보선에서 당선된 진보당 강성희 의원과 전주을 탈환을 목표로 칠전팔기를 하고 있는 국민의힘 정운천 의원(비례), 전략공천설이 진화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최종 공천장을 받아들 민주당 후보까지 당 대 당 경쟁이 치열하다.
강성희 의원은 지난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식에서 빚어진 강제 퇴장으로 오히려 인지도가 올라갔다는 분석이다. 전주을 민주당 예비후보와 입지자들은 일단 강 의원의 강제 퇴장에 대통령실의 사과를 촉구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되레 강 의원의 인지도만 높이는 결과로 작용하는 것도 딜레마로 거론된다.
출마가 확실한 후보군만 지역구 현역인 진보당 강성희 의원, 정부 여당의 호남 승리를 상징하게 된 정운천 의원, 민주당 후보 등 최소 3자 구도다. 신당이 호남에서 후보를 낸다면 ‘전주을’에 절대 강자가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
여야 양당의 공천 이후 3지대의 합종연횡이 빨라질 것을 예상하면 전주을의 선거구도는 몇 차례 더 격변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경선 및 공천 결과에 따라 반발 탈당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지난해 재선거에서도 전주을은 예상치 못한 대진표로 막판까지 혼전을 거듭했다.
민주당의 내부 사정은 더욱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민주당 전주을 후보군에는 현역 비례대표인 양경숙 의원과 고종윤∙박진만∙성치두∙이덕춘∙최형재 예비후보 등이 경쟁하고 있지만 강력한 우위는 형성되지 않고 지지도가 분산돼 있다.
설상가상으로 민주당의 전략공천 후보군으로 이성윤 전 검사장과 여운태 전 육군 참모차장 등이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주을이 대통령실과 야당의 직접적인 관심 대상으로 떠오르면서 국민의힘 지도부의 선거전략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호남 전략의 중심이 광주가 아닌 전주가 돼야 한다는 게 여야 정치권의 공통된 인식이다. ‘대통령 과잉경호 논란’을 빠르게 진화하는 데에는 전주을 승리가 가장 효과적인 대안인 만큼 한 비대위원장이 정 의원을 직접 지원 사격하는 그림도 나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