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주을 공천방식’ 서둘러 확정하라

제22대 총선이 7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당이 공천 일정에 돌입한 가운데 민주당의 전주을 선거구 공천 방식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전주을 선거구는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라 현역의원 탈당 지역으로 분류돼 지난 15일 전략선거구로 지정됐다. 민주당은 선거 전략상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역구를 전략선거구로 지정하고, 이후 경선·단수공천·전략공천 등의 방식으로 경쟁력을 갖춘 후보를 선출한다는 방침이다.  당의 이 같은 방침이 발표되면서 지역사회와 정가에서는 전주을 전략공천설이 파다하게 나돌고 있다. 전략공천 대상자까지 거론될 정도다. 여기에 민주당의 후보자 적합도 조사 대상에서 전주을 선거구가 제외되면서 전략공천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민주당은 현재 ‘경선을 치를지 전략공천을 할지 아무것도 정해진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향후 당의 선거 일정을 감안하면 ‘전주을’만 따로 떼어내 경선 지역으로 재분류한 후 경선을 치르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 시간이 갈수록 전략공천에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

현재 전주을 선거구에서는 모두 7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표밭을 누비고 있다. 이 가운데 민주당 소속이 5명이다. 현재 전북지역에서 민주당 예비후보가 가장 많은 선거구다. 일찌감치 치열한 공천 경쟁이 예고됐던 곳이다. 전략공천으로 낙하산 후보가 내려온다면 오랫동안 지역구에 공들여 온 민주당 예비후보들의 강한 반발과 함께 선거판에 적지 않은 파장이 있을 것이다. 선거일이 바짝 다가오는데 선거구조차 확정되지 않았다. 여기에 전주을 선거구는 민주당 공천 방식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선거에 나선 예비후보는 물론, 유권자들을 무시하는 처사다.  

민주당의 전주을 선거구 전략공천 여부와 예상되는 파장이 선거의 이슈가 되면서 정작 중요한 정책대결, 인물대결은 시작도 못하게 생겼다. 또 총선이 불과 70여일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여전히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아 선거판의 변수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민주당은 논란을 더 키워서는 안 된다. 뜨거운 감자가 된 전주을 선거구의 공천 방식을 서둘러 정하고, 정해진 방식과 일정에 따라 후보를 확정해 유권자들에게 충분한 검증의 시간을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