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B인증에 무관심한 전북 건설업계, 기술 경쟁력 저하 우려

공공건축물에 이어 아파트 건축에도 의무화 목전...타 지역은 아파트 건설에 도입 활발
전북은 의무화된 공공건물 외 아파트 공사에 도입 전무...인증실적 쌓기 위한 노력 시급

출처-클립아트 코리아

전북지역 건설업계가 정부에서 적극 권장하며 모든 아파트 건축에 의무화를 목전에 두고 있는 ZEB(제로건축물)인증에 무관심하면서 관련분야에 대한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가뜩이나 도내 주택건설시장을 외지대형 건설업체에 잠식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잃어버린 주도권 탈환을 위해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ZEB(제로건축물)란 우리가 생활하고 활동하는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 하고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을 말한다. 

정부는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평가하는 인증 제도를 운영하며 2020년부터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공공 건축물에 대한 ZEB인증을 의무화했고 올해부터 아파트를 지을 때 건축허가조건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ZEB) 인증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지난 2020년부터 건설 원가 비용이 크게 오르면서 정부가 건설 업체의 공사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의무화를 1년 유예했다.

시행이 1년 미뤄지기는 했지만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날로 커지면서 정부 의 ZEB 인증 의무화에 대한 의지가 확고해 내년부터는 본격 시행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은 물론 전북과 도세가 비슷한 충북과 강원도까지 ZEB 인증을 받은 아파트 건설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전북지역은 ZEB 인증이 의무화된 남원 지리산권 생활SOC 복합센터와 고창경찰서 직원관사 증축 공사 같은 공공 건축물만 본인증과 예비인증을 받았을 뿐 아파트 건설실적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국토교통부와 새만금개발청이 새만금을 탄소 중립 및 그린뉴딜의 중심지로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업체 중에 제로에너지인증 실적을 자랑스럽게 내세울 만한 업체도 없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이곳에서 발주되는 건축물 입찰에서도 지역 업체들이 배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기술 형 입찰로 발주되는 대형공사에서도 지역업체들이 대형건설업체들의 들러리만 서고 있는 상황이 새만금 관련 건축물 입찰에서도 재연될 전망이다.

이는 전북특별자치도청의 정책부재와 건설업계의 무관심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건축물에너지평가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시공 원가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 타 시도 지역 업체들도 ZEB 인증을 하고 싶어서 하는 게 아니다. 정책적으로 강제하니까 어쩔 수 없이 인증실적을 쌓고 결과적으로 기술경쟁력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며 “전북지역업체들도 인증실적을 쌓기 위해 하루속히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