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국민이 ‘정신적 스승’으로 추앙했던 비욘 나티코 린데블라드. 자신이 펴낸 책 한 권으로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린 그를 우선 주목하게 하는 것은 이력이다. 그는 명문으로 꼽히는 스톡홀름 경제대학을 졸업하고 다국적 기업에 들어가 20대 중반에 임원이 되었을 정도로 일찍이 성공적인 삶을 얻었다. 그러나 쉴새 없이 이어지는 불안으로 행복하지 않았던 그는 어느 날 갑자기 회사에 사직서를 내고 마음의 지혜를 얻는 명상의 길을 떠난다. 수행을 위해 태국의 밀림 사원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지만 17년이 지나 ‘엄격한 계율조차 편안해지는 경지’에 이르자 그는 수행을 접고 다시 일반인의 삶으로 돌아왔다. 이후 그의 일상은 명상 모임과 강연을 이끌며 ‘마음의 고요를 지키며 살아가는 법’을 사람들에게 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다 갑자기 찾아온 병, 2018년 루게릭병을 진단받은 그의 몸은 굳어져 갔다. 죽음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도 그는 따뜻한 지혜를 전하는 명상과 강연으로 자신의 평범한 일상을 지켰다.
그는 세상을 떠나기 2년 전, 자신의 60년 삶의 여정이 담긴 처음이자 마지막 책 <내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원제 I May Be Wrong)>를 펴냈다. 책은 출간되자마자 30만 스웨덴 독자들의 열광을 이끌며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으며 전 세계 25개국에서 번역되어 출간됐다. 누구나 부러워할 빛나는 성공을 거뒀지만 모두 버리고 산속으로 수행을 떠난 여정과 그 과정에서 깨달은 마음의 지혜가 독자들을 위로하고 감동을 주었을 터다. 2022년 1월, 세상을 떠났을 때는 스웨덴 전역에서 그를 추도하는 애도의 물결이 일었다.
그가 태국의 사원에서 다시 돌아왔을 때 인터뷰하는 기자가 물었다. “17년 동안 승려로 살면서 배운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무엇이었습니까.” 그의 답은 단순했다.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을 다 믿지 않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가 전하는 마음의 지혜가 또 있다. 책 제목이기도 한 ’내가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태국에서 만난 스님이 그에게 ‘마법의 주문’을 알려주겠다며 전해준 말이었다. “갈등의 싹이 트려고 할 때, 누군가와 맞서게 될 때 이 주문을 마음속으로 ‘내가 틀릴 수 있습니다’를 세 번만 반복하세요.”
연휴가 끝나고 나라 안이 더 어수선하다. 사건 사고도 유난히 많고, 총선을 앞둔 정치판은 국민을 위한 민생 정책으로 승부하기 보다 서로를 향한 비난으로 갈등과 혐오의 골만 깊어지고 있다. 선거를 앞두고 예외 없이 벌어지는 출마 후보자들의 이합집산도 갈수록 격렬해진다. 그래서인가. 연휴 덕분에 마주한 책 한 권이 전하는 ‘마음의 지혜’, 고요한 마음의 소리가 절실해진다. / 김은정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