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역세권 복합개발사업' 부지연결 터널 '동서'→'남북'

전주역 관통 동서터널서 동부우회도로 터널개통 방향으로 변경
LH, 지구 4개 토로와 동부우회도로 터널 교통영향평가 용역중
2018년 국토부 역세권 공급촉진지구 지정이후 답보상태
전주시 민선6,7기 '지구해제 요청' 방침서 8기들어 '개발'로 선회
시, 이 지구 개발 전주 동부권 전주완주연결 연결축 중요시 생각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개발예정인 '전주역세권 공공자원 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전주역세권 복합개발사업)'와 전주시내를 연결하는 터널이 당초 동서 연결에서 남북 연결 형태로 변경될 전망이다.

이 사업은 지구 지정이후 각종 사유로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면서 5년 넘게 답보상태인데, 민선 8기 들어 전주시가 전면 개발 방침으로 정책을 바꿈에 따라 신속 추진여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전주시 등에 따르면 전주역세권 복합개발 사업은 전주역 뒤편 덕진구 산정동, 우아동 3가, 호성동 1가 일원 106만5000㎡ 일대를 LH가 개발해 민간임대 3940여 세대와 공공임대 1610여 세대, 분양 2130세대, 단독주택 146세대 등 총 7830여 세대를 공공, 분양, 단독부지 혼용 형태로 2025년까지 개발하는 것이 골자다.

이 사업은 지난 2018년 국토교통부가 LH의 지구 지정요청을 받아들여 지정됐는데 민선 6, 7기 시는 구도심 공동화 문제와 난개발, 투기과열 문제, 전주지역 미분양 아파트 증가 등의 이유로 수 차례에 걸쳐 국토부에 지구지정 해제를 요청했다.

그러나 지구지정 해제는 이뤄지지 않았고, 민선 8기 들어 시의 방침이 바뀌었다.

시는 2022년 7월 부터 현재까지 LH와 사업추진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당초 사업지구와 전주시내를 연결하는 도로개설을 위해 현 마중길을 없애는 대신 터널 형태로 전주역을 지나 지구까지 연결되는 도로형태로 개발해달라고 LH에 요청했지만 LH는 과도한 사업비 투입을 이유로 난색을 보여왔다. 

열차 선로가 있고 증축되는 전주역을 관통하려면 터널을 길고 깊게 뚫어야하는데, 추정 사업비가 2000억 원 이상으로 예상되기 때문이었다.

이에 시는 전주역 관통터널 대신 동부우회도로에 터널을 뚫고 지구내 왕복 4차선 주간선도로 4개를 개설하는 형태로 LH에 제안을 했다.

이를 통해 지구와 인접한 완주와 개통예정인 용진-우아 우회도로를 이어 전주와 완주 동부권 연결축으로 만든다는 것이 시의 구상이다.

하지만 LH는 지구의 대부분이 공공임대주택이어서 개발이득이 적다며 시에 사업비 분담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부지 개발 시행사가 도로개통까지 하는 것은 맞지만 그동안 사업반대를 하던 시가 돌연 적극 추진의사를 밝히며, 터널 개통까지 요구하는 것은 과도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어찌됐든 사업지연의 가장 큰 책임이 시에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대상 지구 주민들은 지구 지정에 따른 재산권 침해와 사업의 신속 추진을 요구하며 오는 23일 시와 LH, 주민들이 참여하는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터널 등 지구 주변도로 개설은 원칙적으로 사업시행자가 하는게 맞다"며 "물론 사업이 지연된데에는 기존 시의 정책상의 이유가 크지만 원활한 합의를 도출해 사업이 신속히 진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