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전북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인 ‘전주을’ 선거구가 이번에는 더불어민주당 밀실공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민주당은 출처가 모호한 당내 여론조사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대표적 텃밭인 전주을에서도 이 같은 상황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송갑석, 홍영표, 이인영 의원 등 비명계 의원 지역구에서 현역 의원인 이들을 빼고 친명계 인사를 넣은 여론조사가 실시된 데 이어 전주을에서도 민주당 예비후보 6명 중 최형재 예비후보 단 1명만 포함시키고 이제껏 한 번도 거론되지 않았던 친명계 인사를 집어넣은 여론조사가 등장했다. 여론조사 후보군 선정 배경이나 경선이냐 전략이냐 모든 게 깜깜이인 전주을 공천 논의는 필연적으로 밀실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의 공천 과정 중 그 평가 근거를 알 수 없는 현역 하위 20% 대상 통보와 정체불명의 여론조사를 두고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사당으로 전락했다고 볼 수 있는 가장 적나라하고 상징적인 사례”라는 게 당 안팎의 지적이다.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지낸 최병천 신성장 경제연구소소장은 자신의 SNS에 “민주당 공천의 특징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비명횡사(非明橫死), 찐명횡재(橫財)”라고 비꼬았다.
여론조사 대상이 된 민주당 후보군은 최형재 예비후보와 김윤태 전 전북교육감 후보(우석대 교수), 이성윤 전 서울고검장 등 3명이었다. 이들 중 김 교수는 전주을 후보군으로 거론되지 않았었다.
지난 19일부터 실시된 이 여론조사는 어떠한 기관에서 의뢰했는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정황상 언론사가 아닌 민주당이라는 게 정치권 내 중론이다.
여론조사 대상 표집은 SKT, KT, LGU+ 3개 통신사에서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로 후보자나 특정 개인이 할 수 없는 구조여서다.
현행법은 정당 당내경선이나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 시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가상번호를 요청할 수 있는 자격은 공직선거법에 정당과 언론사(공표 보도용)뿐이다. 한마디로 해당 여론조사는 민주당이 돌리는 여론조사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론조사 핵심 질문은 3명의 인물 중에서 민주당 전주을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를 묻는 것이었다. 실제 조사기관은 이들 중 김윤태 전 전북교육감 후보를 선택하면 1번, 이성윤 전 서울고검장 2번, 최형재 현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은 3번을 고르도록 했다. 나머지 지지하는 인물 없음 5번, 잘 모르겠다는 6번 이었다.
이후 조사기관은 이들 세 후보 중 한 명과 국민의힘 정운천, 진보당 강성희 후보와의 3자 대결을 가정하고 누구를 찍을지를 물었다. 만약 국민의힘, 진보당과 대결 시 지지도가 오차범위 밖으로 민주당 후보가 우세하다면 누구라도 공천 대상에 올릴 수 있는 명분을 만들 수 있는 셈이다.
여론조사 진행시기에 맞춰 김윤태 교수는 20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주을 출마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었으나 일정을 순연했다. 정치권에선 김 교수의 깜짝 출마 선언 배경을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김 교수는 전주을 공천과 관련 당의 추가공모가 있을 것으로 보고 그 시기에 맞춰 입당과 출마선언을 할 계획이다.
김윤태 교수는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전략공천이 아닌 이제까지 전주을에서 뛴 예비후보들과 정정당당하게 경선에서 경쟁할 생각"이라면서 "잡음이 없도록 공정한 경선을 원한다"고 밝혔다.
전주 여론은 시스템 공천과 호남 공천의 중요성이라는 취지에 맞게 전략공천지역이라도 투명한 경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민주당이 전주을 공천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사천’ 논란의 향방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만약 낙하산 공천이 강행될 경우 사천 논란과 함께 전주을은 물론 본선에서 전북정치권이 사분오열할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