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에 대해 '면허정지와 사법처리 가능성' 등 강경대응 방침을 강조하고 있지만, 단체행동에 참여하는 전공의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주요 100개 수련병원 점검 결과 지난 21일 밤 10시 기준 소속 전공의의 74.4% 수준인 9275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해 전날보다 459명이 늘었다.
또한, 소속 전공의 64.4%인 8024명이 근무지를 이탈한 것이 확인됐다. 전날보다 211명 증가한 수치다.
정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현장점검을 통해 근무지 이탈이 확인된 6038명 중 이미 업무개시명령을 받은 5230명을 제외한 808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다.
지난 21일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신규로 접수된 피해사례는 57건이다. 피해사례는 수술 지연이 4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진료거절 6건, 진료예약 취소 5건, 입원 지연 2건 순이었다.
정부는 법과 원칙에 의거해 집단행동에 대응해 필요한 조처할 계획이며, 진료·수술 지연 등으로 피해를 본 국민을 대상으로 법률상담서비스 등을 신속히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은 의사단체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발언을 지속하는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며 "집단행동과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발언을 멈추고,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해결할 것을 강력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