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산업단지(이하 새만금 산단)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를 위해 새만금개발청 내에 기업 관리 및 지원 등의 전문성을 가진 인적 자원을 확충하거나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과 같은 전문기관과의 협업이 요구된다.
특히 이차전지 기업 증가에 따른 가스·화학물질 사고를 비롯한 산업재해 위험 요소가 증가함에 따라 새만금산단의 안전관리를 책임질 수 있는 안전관리 전담 인력 배치도 시급하다.
새만금산단은 2019년 국토부 산업입지정책심의회를 거쳐 일반산단에서 국가산단으로 승격된 데 이어 이차전지특화단지와 국제투자진흥지구로 지정돼 10조 원에 이르는 기업 유치 성과를 거두는 등 급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국가산단과 다르게 새만금산단은 새만금특별법에 따라 새만금개발청이 인허가 및 관리권자이며, 전문기관 위임 없이 직접 산단 조성·관리 업무를 수행 중이다.
새만금개발청은 산단 관련 예산 확보 등 행정 역할에 장점은 있지만, 국가산단 전문 관리 경험이 없어 산단 관리와 성장에 있어 한계에 봉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소를 위해 지난해 4월 새만금개발청은 '원스톱 지원센터'를 신설해 입주 심사부터 운영까지 밀착 지원을 제공한다고 밝혔지만, 안전 및 체계적인 운영관리 등 전문성에서는 전문기관에 뒤처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때문에 신속하고 일원화된 산단 관리를 위해서는 현재 임시조직으로 운영 중인 ‘원스톱 지원센터’를 기업 지원 전담기구로 확대·개편해 업무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아울러 국가산단 전문기관인 한국산업단지관리공단 등과 인적 자원 교류 등 업무협업을 통해 전문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한국산업단지관리공단은 산업단지 관리 등의 사업을 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전국 46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운영하며 기업의 안정적 생산 활동에 기여하고 있어 새만금개발청과 업무협업이 이뤄지면 행정력의 한계를 극복하는 등 더 큰 시너지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새만금산단에 입주한 A기업 대표는 “새만금산단 입주 기업의 운영, 관리, 기업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전문기관의 관리와 지원을 받으면 기업 경쟁력 강화와 함께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입주 기업의 공장 가동이 본격화되면서 각종 인허가 처리 업무 등이 급증하고 있다”며 “산단 관리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한국산업단지관리공단과 같은 산단 관리 전문기관의 인력 지원 등을 통한 산단 관리 업무의 체계화 및 효율성 도모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