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에 나서면서 의료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 전북지역도 비상이다. 가뜩이나 지역사회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데 얼마 되지 않는 의사들마저 의료현장을 등지고 있다. 지역 간 의료격차가 심해지면서 전북은 주민 의료 접근성 저하와 농촌 의료공백 문제 해결이 해묵은 과제였다. 이런 상황에서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장기화될 경우 도민들의 피해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전북은 응급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은 노인 인구가 많다는 점에서도 우려가 크다. 전북특별자치도가 ‘비상진료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면서 상황이 악화될 경우 지방의료원과 보건소의 진료시간 확대, 공중보건의사 투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진료공백을 줄이겠다’고 밝혔지만 도민들은 여전히 불안하다.
이번 주가 고비다. 정부가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의 복귀 시한을 29일로 못 박은 데다 2월 말은 전임의들의 계약이 끝나는 시기여서 이들마저 빠져나갈 경우 심각한 수준의 의료대란이 올 수 있다. 코로나19 등 바이러스 대응과 갈수록 심각해지는 지역 간 의료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해 의대 정원 확대는 불가피한 현실이 됐다. 그런데 우리 사회 해묵은 과제의 해법을 놓고 갈등과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의료 공백이 계속되면서 응급실 뺑뺑이, 수술 지연 등 어이없는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의료 공백은 노인과 아동·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 큰 위험요소가 된다.
지금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국민 눈높이와 맞지 않는다. 그래서 국민들에게 따가운 질책을 받고 있다. 의료 인프라가 취약한 지방의 경우 의료인들의 집단행동은 파장이 더 크다. 의료인에게는 당연히 환자의 건강과 생명이 최우선이어야 한다. 의료인에게 주어진 사회적 책임을 다시 한번 되새겨야 할 때다. 전공의들은 집단행동을 멈추고 하루빨리 병원으로 복귀해 생명이 오가는 환자들을 돌보고 치료해야 한다. 아울러 전북특별자치도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의료 공백 확산 사태에 대비해 공공의료 등 비상진료체계를 다시 한번 점검해 지역사회 의료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할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도 도민들이 건강과 생명을 위협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