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선거구가 극적으로 타결돼 현행대로 10석이 유지되었다. 그간 도민들은 전북정치권의 영향력 약화로 지난해 새만금 관련 국가예산이 제대로 회복되지 않는 등 현안인 선거구 획정에 노심초사해왔다. 경남북의 인구 감소가 더 크고 전남도 비슷한 상황인데도 선관위에서 국회로 보낸 안에 전북에서 한석 줄인 것으로 돼 있었다.
총선 41일 앞두고 지각 처리된 국회표결 결과, 재석 259명 가운데 찬성은 190명 반대는 군산 신영대 의원 등 34명, 기권은 전주병 김성주 의원과 군산에서 경선 준비 중인 비례대표 김의겸 의원이 기권표를 던졌다. 국회의원은 개인의 정치철학과 선거구 통합에 따른 유불리에 따라 자신의 소신을 밝힐 수가 있다. 그러나 도민들이 10석 유지를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는 절박한 상황에서 반대표를 던지거나 기권한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김성주 의원은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서 반드시 10석을 사수하겠다는 것이 저의 확고한 원칙이고 민주당도 그걸 확고한 방침으로 갖고 있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그런 사람이 막상 본회의 투표장에서 기권표를 던져 표리부동한 의원이었다는 것을 본인 스스로가 입증시켰다. 전북 정치권이 중앙정치 무대에서 힘이 약해 전북 몫을 제대로 찾아오지 못하는 상황이 거듭되자 지난해부터 시민사회단체가 주축이 되서 총궐기하다시피했지만 결국 선거구 획정과 관련, 김 의원이 기권한 것은 논리의 일관성도 없고 무책임한 것으로 지역민들의 분노를 사게 했다.
특히 막판에 민주당 출신인 김관영 지사까지도 이재명 대표 등 당 지도부에 현행처럼 10석 유지를 강력히 건의하는 등 최선을 다한 것과는 달리 이율배반적인 행동을 보여줬다. 법보장경에 나와 있듯이 사람이 유리하다고 교만하면 안되고 불리하다고 비굴해서는 안된다는 것. 선거구 획정 표결을 놓고 민주당 도내 5명 의원은 모두가 찬성표를 던지는 등 막판까지 10석 사수를 위해 최선을 다했던 모습과는 대조적이어서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다.
지금 시민들은 전주역사 증축공사가 원래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반쪽짜리 공사로 그쳤다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원래 정동영 전 의원이 700억 규모로 계획한 이 사업이 450억 원 밖에 사업비가 확보되지 않아 반쪽자리로 그쳤다면서 지역구 의원이었던 김성주 의원과 건설위에 속했던 전주갑 김윤덕 의원이 노력 않고 허송세월해 다른 지역 신설역사와 달리 초라한 전주역 증축으로 그치게 됐다고 비난했다.
전북에서 아무나 공천만 받으면 국회의원이 되었지만 개인 역량에 따라 국가예산을 확보한 것은 천차만별이었다. 똑똑하고 정치적 영향력이 큰 인물이 있었더라면 남원서남의대 폐교로 생긴 49명의 정원을 갖고 공공의대도 얼마든지 만들수 있었지만 그렇게 하질 못했다. 전북 현역의원들의 정치력이 보잘 것 없자 삭감한 국가예산을 부활시킬 때나 국회선거구 획정문제 등을 갖고 마구 흔들어 대면서 전북이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했다.
이제는 정치가 얼마나 우리 실생활에서 중요한지를 깨달아야 한다. 현역들이 의정활동을 잘못했으면 과감하게 갈아 치워야 한다. 백성일 주필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