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가격이 일 년 새 40%나 뛰었다. 최근 전북자치도 소비자물가지수가 2%대까지 내려왔지만 물가 부담이 여전한 이유다.
6일 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발표한 2024년 2월 전북특별자치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북자치도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2월과 비교해 2.9%, 이중 생활물가지수는 3.4%, 신선식품지수는 17.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신선어개·채소·과실 등 계절·기상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 중 신선어개·채소·과실류는 지난해 2월 대비 각각 0.8% 하락, 9.1%·39.2% 올랐다.
지난달 귤·사과·체리·배·딸기 등 대중적인 과일을 의미하는 신선과실류 가격이 가장 크게 뛰었다. 이중 귤은 83.2%, 사과는 72.5%, 체리는 45.8%, 감은 42.3%, 배는 37.3%, 딸기는 34.9%, 파인애플은 20.1%, 바나나는 7.4%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치솟는 과일 가격에 전통시장·대형마트에서 과일을 집었다 놨다를 반복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과일·채소류 등 농산물 가격은 하나가 오르면 다른 것도 올라가는 '도미노' 특징을 보이는 만큼 소비자의 물가 부담은 날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다.
물가 부담을 인지한 정부는 물가 안정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3∼4월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600억 원 투입해 주요 먹거리 체감 가격을 40∼50% 인하할 예정이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오렌지·바나나 등 주요 과일을 직수입해 저렴한 가격으로 시중에 공급하고 수입 과일 3종(만다린·두리안·파인애플주스)에 대해 추가 관세 인하를 적용하기로 했다.
동시에 비상수급안정대책반을 가동해 품목별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하는 등 가격·수급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6일 정부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 회의를 주재한 최상목 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의 물가 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여 2%대 물가가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 우선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농축수산물에 대해 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면서 "조속한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기업 등 모든 경제주체의 동참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1월 2% 대로 떨어졌던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고공행진 하는 과일 가격의 영향으로 한 달 만에 다시 3% 대로 올라섰다. 신선과실류 물가가 41.2% 오르면서 32년여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