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지역을 글로벌 식품 허브로 조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전북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사업모델을 중점 발굴할 것입니다.”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경안)은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어업위), 전북특별자치도와 ‘새만금 글로벌 식품 허브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장태평 대통령소속 농어업위 위원장,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가 참석해 새만금을 성공적인 글로벌 식품 허브로 조성하기 위한 협력 의지를 다졌다.
새만금은 동북아 중심지란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우수한 물류 인프라, 기업 운영에 최적화된 원스톱 행정지원, 광활한 농생명 용지 등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새만금 인근에 입지한 다수의 농식품 관련 연구기관과 국가식품클러스터 등 연구개발에서 산업화까지 연계 가능한 밸류체인이 구축돼 글로벌 식품허브 조성을 위한 최적지로 꼽힌다.
이번 협약에서 각 기관은 새만금 식품 허브 조성을 위한 역할과 협력 내용을 정하고 향후 상호 유기적으로 협업해 대한민국 농수산식품산업 발전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로써 새만금에 조성되는 글로벌 식품 허브가 네덜란드 푸드밸리에 버금가는 세계적인 식품 생산 및 무역 중심지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통령소속 기구인 농어업위는 농수산식품 관련 기업의 원활한 기업 활동으로 효율적인 국산 원료 생산 및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과 제도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새만금청은 농수산식품 관련 기업 유치를 위한 규제 개선 및 인프라 구축, 기업 수요 발굴, 대국민 홍보 등을 통한 식품허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전북자치도는 미래 농생명산업 중심지로서 잠재력을 보유한 새만금이 생산자·수출기업의 동반성장과 농수산식품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고 지원한다.
장태평 농어업위원장은 “새만금 글로벌 식품 허브가 우리나라 농어업 관련 기술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수출 1000억 달러 농수산식품 산업의 꿈을 위해 과감한 계획이 추진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아시아 농식품 시장의 관문으로 새만금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안 새만금청장은 “새만금이 글로벌 식품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