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개혁연대, 교단 미래 발전 토론회

교헌 개정·원음방송 사태 관련 주제 발표 및 논의 진행

지난 8일 원광대학교 숭산기념관에서 원불교 개혁연대가 개최한 교단 미래 발전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 제공=원불교 개혁연대

원불교 개혁연대(상임대표 신상환)가 교단 미래 발전 토론회를 열고 교헌 개정과 원음방송 사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고 11일 밝혔다.

원광대학교 평화연구소가 주최하고 원불교 개혁연대가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지난 8일 원광대 숭산기념관에서 열렸으며 제1주제 ‘재가출가 평등 교단, 어디까지 왔나(271차 수위단회 의결 사항을 중심으로)’와 제2주제 ‘서울 원음방송국의 실태와 과제’에 대한 발표와 논의가 진행됐다.

제1주제를 발표한 최병원 전 진안교당 교도회장은 “원불교 수위단회가 2023년 11월 6일부터 7일까지 이어진 회의에서 의결한 개헌안은 그 내용이 너무 불합리해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재가수위단을 출가수위단의 2분의 1로 정하는 불평등을 일단 수용하는 판에 출가수위단만을 최상위 교화단이라고 규정해 재가수위단과 차별하는 이유가 무엇일까”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제2주제와 관련해 지정토론에 나선 이덕천 금강의주인 공동대표는 “원음방송 문제는 견제와 감시 기능을 해야 할 교정원과 중앙교의회의 장이 원음방송의 임원으로 재직하면서 발생하는 이해충돌과 구조적으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이에 대한 개선만이 근본적이 대책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경덕 원불교 개혁연대 사무국장은 “종교방송인 원음방송이 수익을 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운영 투명성을 강화하고 종교방송 본연의 임무에 충실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원광대학교 평화연구소 관계자는 “평화는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올 수 있으며 원불교 안팎을 포괄하는 폭넓은 개념”이라며 “이번 토론이 원불교 평화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