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더불어민주당 전북지역 경선 일정이 모두 마무리됐다. 그러면서 전북 10개 선거구의 여야 대진표가 완성됐다. 제22대 총선이 채 한달도 남지 않았지만 본격적인 레이스는 이제부터다. 그런데 선거 열기는 이미 시들해졌다. ‘공천이 곧 당선’인 일당독식 구조의 지역 선거판에서 민주당 경선이 끝났기 때문이다. 지역의 유력 후보들도 경선 승리에 모든 힘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정책대결은 없었다. 경쟁후보간 흑색선전·비방전이 과열되면서 고소·고발로까지 이어지는, 진흙탕 싸움으로 일관했다. 후보들이 경선 승리 공식에만 매몰돼 선거가 지지자들간의 세대결 양상으로 전락하면서 정책대결은 실종되고 유권자들에게 피로감만 안겼다. 또 주민 갈등과 분열 등 심각한 후유증도 남겼다.
경선이 끝나면서 유권자들의 무관심 속에 맥빠진 선거가 될까 우려된다. 지역 소멸 위기의 시대, 생존을 위해 지역 발전의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중차대한 시점이다. 그런데도 지역 현안과 연관된 정책은 보이지 않는다. 민의를 대변할 수 있는 진짜 일꾼을 뽑아야 한다. 특정 정당의 공천을 받은 후보에게 무조건적으로 표를 던지는 것은 국민의 소중한 권리인 참정권을 포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제는 유권자의 시간이다. 후보들을 정책 대결·토론의 장으로 이끌어내 옥석을 가려야 한다. 뚜렷한 정책과 비전도 없이 그들끼리의 세 대결, 그리고 선거공학을 잘 활용하는 후보가 승리하는 양상이 되풀이된다면 지역의 미래도 담보할 수 없다. 본선보다 훨씬 힘겨웠을 경선을 통과한 민주당 후보들도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인식을 버리고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 대결·토론의 장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들만의 리그’인 민주당 경선이 곧 본선이 되는 맥빠진 선거를 지역주민들은 바라지 않는다.
이제는 정말 선거문화를 바꿔야 한다. 후보들이 미래 가치를 담은 차별화된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면서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 경쟁하는 게 선거의 본질이다. 당장 눈앞의 승리 전략에 매몰될 수밖에 없는 후보들에게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면 유권자들이 먼저 각성해야 한다. 정책 제시는 뒷전인 채 상대 정당·후보 비방과 편 가르기를 주저하지 않고 감성에만 호소하는 구태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유권자들이 엄중하게 심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