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에서 지난 해 예비부부 5500쌍이 혼인신고서에 도장을 찍었다. 코로나19 시기에 결혼을 미뤘던 예비부부의 혼인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재개되고 있지만 전북지역은 100쌍도 채 증가하지 않았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 혼인 건수는 전년보다 89건 증가한 5483건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조혼인율'은 3.1건으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가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출생아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
지난해 전북지역 출생아 수는 전년(7000명)보다 400명 감소한 6600명으로 가임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0.78명이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은 3.8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혼인(결혼)·출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는 현상이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전북지역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실제로 성인 절반이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지만 향후 출산을 고민하는 성인은 10명 중 3명도 되지 않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전국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법률혼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을 제외한 설문 대상 1059명 중 51.7%만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답변했다.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응답한 성인은 24.5%였다.
향후 자녀 계획을 묻자 낳지 않겠다고 답변한 성인은 46%, 낳겠다는 성인은 28.3%인 것으로 조사됐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혼인을 하더라도 출산을 안 하려고 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혼인(출산)을 유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이 있다 보니 어떤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 조금더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전국 혼인 건수는 12년 만에 소폭 늘었으나 3년 연속으로 20만 건을 넘어서지 못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 4000건으로 집계됐다. 조혼인율은 3.8건으로 전년(3.7건)과 비슷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