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상용차산업 진흥을 위한 노사정 협의체인 '상용차산업 혁신전략 추진단'이 19일 공식 출범했다. 상용차 생산량 감소와 노동자 일자리 축소 위기 극복을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댄 것.
이날 노사정 상생선언식과 함께 도청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도내 상용차산업 관련 16개 기관·단체가 참석했다.
추진단은 노동계를 대표하는 민주노총 금속노조와 한국노총 금속노련, 현대차·타타 대우차 및 노조, 협력사협의회가 주도한다. 도·전주·군산·김제·완주 등 5개 지자체와 자동차융합기술원 등 연구기관은 지원하는 체제다.
추진단은 정책심의를 담당하는 정책협의회와 R&D기반조성·인력양성·미래차보급·노사상생 등 4개 분과로 구성됐다. 분과협의회는 다음달부터 운영되며, 분야별 애로사항과 과제를 발굴하고 대책을 마련한다.
R&D 분과는 내연기관에서 미래차로의 전환을 위한 기업 연구개발 지원과 생산기반 조성 방안을 다룬다. 신차 모델 개발이나 차량 전동화, 부품 국산화 등의 지원책을 논의한다.
인력양성 분과는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재교육 지원 등 인력 육성 대책을 모색한다. 여기에는 완성차 업체와 부품업체 종사자를 아우르는 인력양성이 포함된다.
미래차보급분과는 수소전기차 등 미래형 상용차 보급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내놓는다. 노사상생분과는 기업과 노동자가 상생할 수 있는 문화 확산 방안과 노동자 권익 향상 지원책 등을 다룬다.
새롭게 출범하는 추진단은 과거와 달리 노조와 기업인이 중심으로 소모적인 갈등을 지양하고, 타협과 양보를 최우선으로 하는 상생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추진단 위원장을 맡은 김관영 지사는 "상용차산업 미래 생태계 구축 및 고용 일자리의 공정한 전환과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위해 신뢰를 바탕으로 노사정이 상생협력에 인식을 같이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함께 상생하고 혁신해 상용차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마련하고 성공을 이루는데 힘을 모으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