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30년 한지공예 외길 걸어온 김선주 한지공예가

"가랑비에 옷이 젖듯 한지공예의 매력에 푹 빠져 작품 활동 전개"
최근 전주 공예품전시관서 생애 첫 개인전 개최 시민들 눈길 끌어

김선주 씨

“그동안 흔하게 만나볼 수 있던 한지공예품이 아닌 저만의 해석으로 풀어나간 작품을 계속해서 만들어보고 싶어요.”

30여 년 동안 한지공예 외길을 걸어온 김선주 한지공예가(58·전주)의 말이다.

일생의 반을 한지공예에 힘써온 그가 한지의 매력에 빠지게 된 계기를 ‘운명’으로 설명했다.

섬세한 손끝으로 화사한 색감의 색실함·색실첩 등 예술작품을 탄생시키고 있는 김 작가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색지장 김혜미자 보유자의 딸이자 제자이다.

김 작가는 “처음에는 바쁜 어머니의 업무를 도와드리면서 한지공예를 접하게 됐다”며 “그렇게 가랑비에 옷이 젖듯 한지공예의 매력에 빠지게 됐고 박물관이나 전시장에 만나볼 수 있는 유물에서 저만의 개성이 담긴 색감의 작품으로 표현하는 재미를 접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처럼 오랜 세월 한지를 대하고 있는 그가 최근 생애 첫 개인전을 개최해 많은 이의 발걸음을 모았다.

그는 생애 첫 개인전을 통해 작가 본인만의 개성과 섬세함 등 농익은 전통의 미(美)를 선보였다.

30여 년 공예 활동을 했음에도 올해 첫 개인전을 연 이유에 대해 김 작가는 “이미 한지공예에서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계신 어머니가 각종 대회 운영위원 등 관계자로 활동하셔서 공모전 참가를 주저해 왔었다”며 “그러다 보니 꾸준한 작품 활동을 할 기회도 줄어들어 개인전을 열 생각을 하지 못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개인전에 선보인 작품 역시 전시를 결심한 지난 겨울부터 만들어 왔던 것으로 구성돼 있었다”고 부연했다.

끝으로 김 작가는 “오랜 세월 한지와 동고동락 해다보니 한지공예가 어떨 때는 마냥 좋다가도, 어떨 때는 싫어질 때도 있지만, 만들어보고 싶은 작품을 만날 땐 마냥 설레인다”며 “이런 설렘이 소진될 때까지 공예 활동을 이어가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 김 작가는 1993년 한지공예에 입문해 꾸준한 공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한지공예대전에서 은상·동상·입선을 했으며, 대한민국전통공예대전 동상,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입선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지니고 있다. 전국한지공예대전 운영위원 및 심사위원, 대한민국 한지대전 심사위원을 지내고 현재 지사랑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