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입가경이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추진에 반발해 전국 의대 교수들이 '무더기 사직'을 예고한 25일 예정대로 사직서 제출이 시작됐다. 환자나 그 가족들은 이제 불안감을 넘어 분노와 공황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의 중재로 대통령실이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에 대해 '유연 처리를 모색하라'고 지시하면서 대화 물꼬의 기대감이 커졌으나 전공의들과 교수들은 요지부동이다. 건설적인 대화와 극적인 반전을 기대했던 시민들의 실망감은 커지고 있다. 극단적인 파국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란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있으나 정부와 의료계 양측에 더 적극적인 대화와 해법모색을 간절히 주문하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어떤 경우에도 몸이 불편한 환자가 제때 치료받지 못해 방치되는 사태가 발생해선 안된다. 제아무리 그럴듯한 명분도 환자가 피해를 입는 현실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계획에 반발해 의대생 및 전공의들의 집단 행동이 벌써 한 달째 이어지고 있다. 지역거점 국립대병원인 전북대병원 주변 상황을 보자. 대규모 유급사태를 막기 위한 개강 연기에 이어 의과대학 학장 및 보직교수들이 보직사임서를 일괄 제출했고 급기야 양오봉 총장은 교수·학생과 소통 강화를 위해 집무실을 의과대학 본관으로 옮겼다. '의료 공백'에 따른 경영난 심화로 인해 전북대병원은 간호사 대상 무급휴가 시행에 들어갔고, 결국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하는 상황도 머지않아 보인다. 의대 교수들은 전국적으로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고 있다. 2천명 증원은 불가역적이라는 점에 대해 교수들의 집단행동은 예정된 수순을 밟고있다. 의료인들은 정부의 독선을 저지하고 다가올 정부의 폭압에서 전공의와 학생을 보호하기위해 자발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물론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해서 진료가 당장 중단되는 것은 아니고 당분간 병원에 남아 진료를 이어간다는 방침이어서 당장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환자나 그 가족들의 불안감은 이미 임계점을 넘어섰다. 의사들이 환자들을 포기하고 사직하는 게 과연 맞는 것인지 의구심을 갖는 이들이 늘고있다. 환자들의 몸 상태와 상관없이 주 52시간만 일하고 퇴근한다는 방침에 기가 찰 뿐이다. 정부도 극단적인 현 상황을 더 이상 끌고 가선 안된다.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