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을 코앞에 두고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이 ‘22대 총선 9대 약속’을 발표했다. 2023년 7월부터 TF팀을 구성해 준비한 결과물이다. 하지만 9대 약속에는 지역발전에 대한 고민의 흔적이 없어 실망스럽다. 앞으로 선거가 끝나면 낙후된 지역을 위해 최전선에서 뛰어야 할 전북의 대표선수로서 지략과 투쟁력을 강화했으면 한다.
이번에 발표한 9대 정책공약은 △미래융복합 신산업·자산운용 특화 금융도시 △2045탄소제로 그린성장 중심지 △첨단농업과학기술활용 농생명산업 강화 △글로벌 K-Culture △청년투자 증가·지방소멸 방어 △안전하고 행복한 복지 전북 △새만금 주요사업 2030 완공 △전북특자도 성공 위한 SOC 조기 완공 △입법 통한 전북특자도 성공 등이다. 그러나 이들 공약은 구호에 그치거나 지난 선거에서 발표된 것들이다. 또 정부나 전북도가 이미 추진 중인 사업이 다수다. 새롭고 참신한 공약은 눈을 씻고 봐도 찾을 수 없다.
가령 새만금국제공항은 2030년 완공하겠다고 공약을 내놓았다. 그렇지만 국제공항은 정상 추진했다면 올해 착공해 늦어도 2028년에 개항을 마쳤어야 할 사업이다. 특화 금융도시 공약도 대선과 21대 총선 때 나왔던 것으로 제3금융중심지를 말만 바꾼 것이다. 이와 함께 그린성장 중심지, 농생명산업, 글로벌 K-Culture, 청년투자 등은 모두 전북도가 추진 중인 사업들이다.
전북은 지금 사면초가에 몰려 있다. 인구는 급감하고 경제력은 바닥인데 정부나 여야 정당들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 신세가 되었다. 민주당은 40년 가까이 텃밭으로 인식해 정권심판론의 전진기지로 활용할뿐 지역발전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은 아예 버린 지역으로 관심조차 갖지 않는다. 더욱이 지난해 새만금잼버리 파행과 강성희 의원 도발 이후에는 쳐다보기도 싫은듯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방을 돌며 20차례 민생토론화를 갖고 선물보따리를 풀어 놓았으나 전북에는 올 생각을 않고 있음이 이를 반증한다.
이런 상황에서 중심을 잡고 전북발전을 견인해야 할 구심점은 10명의 국회의원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벌써 공약부터 재탕 삼탕에 흐물흐물하면 어쩌자는 건가. 민주당 후보들은 당선에만 매몰되지 말고 낙후된 지역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선거기간 동안 지역의 민심을 더 겸허히 청취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