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도심 한복판...주부들 홀리는 다단계성 ‘떴다방’ 기승

경품과 저렴한 가격 미끼상품 유인, 다단계성 판매형태 매장 2~3곳 운영
주부들이 경품에 현혹돼 다른 지인을 데리고와 강매 형태
저가 상품을 고가에 구입하게 하는 방식, 수개월 운영후에 사라지는 떴다방 식
경찰과 지자체 "피해없어 현재까진 단속 못해, 예의 주시중"

26일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의 한 다단계성 방문판매 매장입구/김경수 기자

전주시내 도심에서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다단계성 ‘떴다방’이 생겨나면서 범죄 연루 등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떴다방들은 경품과 저렴한 가격의 미끼상품으로 유인한 뒤, 추후 저가 상품을 고가에 판매하고 잠적하는 영업방식을 쓰고 있는데, 과거에도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등 문제가 된 바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전북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전주시내에만 2∼3곳의 할인상품판매 다단계성 떴다방이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주시내 A 할인매장은 지난 1월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레크리에이션 식으로 새우젓, 주방용품 등을 판매하며 지인을 데려올 경우 물품을 2000~3000원의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업체는 이미 수년째 전국을 돌며 영업 중으로 저렴한 제품 및 경품으로 유인한 뒤, 추후 저가의 물품을 고가로 속이거나 속칭 '짝퉁'을 판매해 수익을 올린다.

이들은 평균 6개월 가량의 운영이 끝나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자취를 감추며, 이미 인터넷에는 해당 매장에서 당한 품질이나 저가 상품을 고가로 구매했다는 등의 피해를 호소하는 글이 넘쳐나고 있다.

실제 지난 25일 오전 10시께 찾은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한 매장은 마이크를 사용한 물건 판매에 한창이었다. 가게 주변은 여러 대의 CC(폐쇄회로)TV가 설치돼 있었고, 건장한 성인 남성이 주변을 지키고 있었다.

내부는 선팅지로 가려져 들여다볼 수 없었다. 열려진 문 사이로 본 내부에는 전자제품과 수십 개의 의자, 옷 등이 배치돼 있었다. 한 중년 여성이 가게에 입장하려고 하자, 입구를 지키고 있던 남성이 "우리 가게는 58년생 이하는 출입할 수 없다”며 막아섰다.

해당 여성은 “방문만 해도 경품 등을 준다는 소문을 듣고 오늘 처음 왔는데, 입장도 못하게 하니 짜증이 난다”고 말했다.

가게 주변에서는 많은 중년 여성들이 전화 통화에 한창이었다. 여성들은 주변 지인들에게 “해당 매장으로 오면 선물을 준다”, “손해 볼 것 없다” 등으로 주변 지인들을 매장으로 불러들이기에 바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여성은 “사람을 한 명씩 데려올 때마다 경품추첨권을 한 장씩 주고 있다”며 “경품권에는 냉장고, 티비, 프라이팬 등 다양한 경품들이 준비돼 있어 많은 아주머니들이 경품을 받기 위해 주변 지인에게 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26일 오전 11시 다시 찾아가 본 매장 밖에는 여전히 마이크를 사용한 판매 소리가 문틈으로 새어나왔다.

기자가 안에 들어가기 위해 문을 열려고 했지만, 잠긴 채 열리지 않았다. 잠시 뒤, CCTV를 지켜보다 매장에서 나온 관계자는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광고비 명목으로 생필품 등을 주고 있는 것이고 우리는 세무서에 사업자 등록을 한 뒤, 정당하게 장사를 하는 것이다. 애초에 사리분별이 안 되는 사람들을 받지 않기 위해 할머니들은 받지 않고 있고, 잠깐 운영하고 떠나는 것이 아닌 앞으로도 이곳에서 매장을 운영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같은 다단계식 떴다방은 피해가 예상됨에도 경찰 및 지자체는 피해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단속 및 적발이 힘들다는 입장이다.

전북경찰청 관계자는 “아직 피해신고가 접수된 것이 없어 단속 등을 나갈 수는 없으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답했다.

공정관리위원회 특수거래정책과 관계자는 “관련 피해신고가 접수될 시에만 지자체에서 나서 단속을 하고 있다”며 “물건을 구매한 뒤 14일 이내에는 물건의 상태의 변화가 없다면 환불받을 수 있는 점은 소비자들께서 알아두시는 한편, 물품 가격의 정확한 정보 없이 물품을 구매하는 행위에 대해 조심할 필요성이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