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벼농사 생산비 전국서 가장 높아⋯"생산비 절감 시급"

통계청, 2023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
전북 10a당 생산비 96만원, 전국 평균 87만원
순수익 34만원 광역도 가운데 경남 다음 낮아

연도별 논벼(쌀) 수익성 추이/ 자료=통계청 제공

전북지역 벼농사 생산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생산비는 농가 순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전북 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산비 절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0a(아르·1000㎡)당 전북 논벼 생산비는 96만 원으로 전국 8개 광역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전국 평균 생산비(87만 5000원)보다 8만 5000원 많았다.

전북 논벼 생산비는 2019년 84만 4681원, 2020년 87만 3868원, 2021년 87만 8532원, 2022년 95만 7191원, 2023년 95만 9936원으로 최근 5년간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그렇다 보니 논벼 순수익도 전국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10a당 전북 논벼 순수익은 33만 9990원으로 전국 8개 광역도 가운데 경남(33만 2728원) 다음으로 낮았다. 전국 평균은 35만 8000원이었다.

한편 전국 논벼 순수익은 2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순수익이 증가한 건 쌀값 상승으로 총수입이 생산비보다 더 크게 늘어서다.

실제로 10a당 논벼 총수입은 123만 3000원으로 전년 대비 6만 1000원(5.2%) 증가했다. 논벼 생산비는 87만 5000원으로 전년보다 2만 1000원(2.4%) 늘었다.

그럼에도 지난해 전국 논벼 순수익률은 30%를 넘지 못했다. 연도별 순수익률은 2019년 32.9%에서 2020년 36.4%, 2021년 38.8%까지 올랐다가 2022년 27.1%로 폭락했다. 2023년에는 29.0%로 소폭 올랐다. 2022년 순수익률이 폭락한 원인은 쌀값은 하락한 반면 비료값 등 생산비는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