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거가 8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에는 전국 254개 지역구에 699명과 비례대표 46석에 253명 등 모두 952명의 후보자가 국민을 대표하는 300명에 들기 위해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전북에서는 10개 지역구에 33명이 입후보해 3.3 대 1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한창 불꽃이 튀어야 할 선거운동이 벚꽃이 시들듯 파장 분위기다. 지역 텃밭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경선이 끝나면서 도민들의 관심도 같이 시들해졌기 때문이다. ‘선거가 다 끝났다’는 얘기가 심심치 않게 들린다.
이번 선거는 전국적으로 여당에선 거야견제와 이조(李曺)심판, 야당에선 정권심판과 검찰정권 심판 등 온통 심판론뿐이다. 그러다 보니 거대 양당만 보일뿐 총선 본래의 지향점인 지역이슈에 대한 공약과 인물에 대한 평가는 뒷전이다. 특히 전북은 40년 가까이 민주당 독식 구조여서 진영논리에 젖어 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도민들은 어느 후보가 낙후된 지역을 일으켜 세울지를 판단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당보다는 인물과 정책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먼저 공약과 정책을 보자. 민주당 전북도당은 자산운용 특화 금융도시와 그린성장 중심지 등 9대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이들 공약은 그동안 전북특별자치도에서 발표했거나 추진해 온 것들로, 대부분이 재탕 삼탕 공약이다. 영혼 없는 지역현안을 나열한 수준이다. 각 후보들이 내세우는 공약도 재원조달 방안 등 실행력이 담보된 사업은 드물다. 지역에 대한 애정과 고민이 담겨있는지 의심스러울 지경이다.
다음 능력과 인물을 보자. 후보자들의 과거 경력과 학력 등 지나온 길을 뜯어 보고 범죄전력, 병역, 탈세, 탈당 여부 등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그래야 지역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으로서 기본 자질을 갖추었는지를 알 수 있다. 나아가 지난 21대 도내 국회의원들은 정부여당은 물론 민주당 중앙당에서 존재감이 없었다. 우물안 개구리로 지역에서 도의원 및 시군의원들의 골목대장 노릇에 그쳤다. 지역은 물론 전국적으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인물인지를 보고 뽑아야 할 것이다. 이제 후보가 내놓은 공약이 지켜질 수 있는지, 어떤 후보가 도덕적으로 흠결이 없는지를 가려야 할 때가 다가오고 있다. 유권자들은 후보자의 공약과 능력을 하나 하나 살펴보고 현명한 판단을 내렸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