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총선 아카이브] 전북 국회의원 선거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본다"

전북 20년간 특정정당 싹쓸이 석권 전무
사전투표율 가파른 상승세
20대 26만3274명 사전투표, 투표율 17.23% 진안 22.97%
21대 53만6011명 사전투표, 투표율 34.75% 남원 47.31%

사전투표장 기표소를 점검하는 정재규 전북선관위원장/사진=조현욱 기자 

22대 전북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가 개시되면서 역대 선거결과가 다시 재조명되고 있다. 

전북은 과거부터 민주당계 정당의 세가 강한 곳이지만, 시대적 상황에 따라 심판과 내부견제가 이뤄졌던 지역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또 상황에 따라 특정 정당에 힘을 몰아주면서 정국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20대 국회에서 전북 제1당을 차지했던 국민의당이 몰락한 후에는 더불어민주당을 견제할 세력이 사실상 사라졌다.

역대 투표율과 당선정당, 당선된 후보들을 살펴보고 과거 선거를 통해 미래 전북의 전망을 짚어봤다.

 

△급상승하는 사전 투표율

전북의 사전 투표율은 지난 2020년 치러진 21대 총선을 기점으로 급격히 올랐다. 

4일 전북특별자치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6년 20대 총선에서 사전투표에 참여한 전북 유권자는 26만 3274명으로 사전 투표율이 17.32%에 그쳤다. 당시 도내에서 가장 높은 사전 투표율을 기록한 곳은 진안군으로 22.97%에 달하는 유권자가 사전투표장에 갔다. 이 당시 전북의 최종 투표율은 62.91%다.

더불어민주당이 전북 제1당을 탈환한 2020년 21대 총선에선 전년의 2배 이상인 53만 6011명이 사전투표로 참정권을 행사했다. 이 당시 전북 전체 사전 투표율은 34.75%, 전체 투표율은 67.0%다. 전체 투표율은 크게 오르지 않았으나 사전 투표자 수는 4년 만에 크게 증가한 셈이다.

△전북 다수당과 지역정치 

전북은 전통적으로 민주당계 정당을 압도적으로 지지한 대표적인 지역이다. 그러나 역대 선거결과를 살펴보면 전북도민의 표심은 그리 단순치만은 않았다.

실제 한 정당이 전북 모든 선거구를 석권한 것은 지난 2004년 17대 총선 이후 20년 간 단 한 번도 없었다.

전북의 경우 시대정신과 진보정당의 분화, 지역상황에 따라 표심이 움직였다. 특히 지역 출신이나 연고자에게 표심을 행사하기보다 중앙정가의 흐름에 맞춰 색깔이 선명한 정당에 힘을 실어줬다. 전북은 민주당계 정당이 분화할 때 민주당의 운명을 결정짓기도 했다.

가장 결정적인 장면은 17대 총선 당시 열린우리당이 전북 11석을 싹쓸이한 일이다. 당시 민주당계 정당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정계 복귀를 한 후 1995년에 창당한 '새정치국민회의'를 바탕으로, 2000년 1월 20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해 세력을 확대 개편해 창당한 정당인 ‘새천년민주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새천년민주당 탈당 이후 만들어진 열린우리당이 양립했는데, 전북도민들은 여당인 열린우리당에 전폭적인 힘을 실어줬다. 22대 총선에까지 활동하는 한병도, 조배숙 의원이 열린우리당의 당선자이기도 했다. 정동영 후보의 경우 열린우리당 의장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아직까지도 전북 정치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전북의 선택에 따라 새천년민주당은 민주당으로 이름을 바꾼 일명 꼬마민주당이 됐다.

18대 총선에선 민주당계 정당들이 힘을 모은 통합민주당이 출범해 전북의 제1당이 됐다. 이 당시 이춘석 후보가 통합민주당 소속으로 초선의원에 당선됐다.

하지만 전북도민들은 전주 완산갑 이무영, 정읍 유성엽 등 무소속 후보 2명을 당선시켜 통합민주당을 견제토록 했다. 득표율 역시 통합민주당과 무소속 후보 간 박빙의 승부가 펼쳐지는 곳도 있었다.

19대 총선에선 민주통합당이 전북 1당으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통합진보당 강동원 후보가 남원·순창 선거구에서 당선돼 민주당계 정당이 전북 전체 의석을 획득하진 못했다. 남원정치권의 분화는 이때부터 21대 총선까지 이어진다.

20대 총선에서 전북은 다당제 구도가 됐다. 전북은 민주당 호남홀대론과 안철수 현상을 업은 국민의당에 10석 중 7석을 안겨줬으며 더불어민주당에는 단 2석만 허용했다. 국민의힘의 전신인 새누리당 후보로서 정운천 의원이 전주을에서 당선된 때도 바로 이 시점이다.

바로 직전인 21대 총선에선 국민의당이 내분으로 사분오열되면서 더불어민주당이 전북 1당의 자리를 되찾았다. 당시 국민의당 소속 후보들은 무소속과 민생당으로 출마했으나 대부분 고배를 마셨다. 다만 남원·임실·순창에선 지역정치권의 내분으로 무소속 이용호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연출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