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는 이런 비극이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16일 오전 10시 원광대학교 사범대학교 앞에서 열린 세월호 10주기 故 고창석·故 이해봉 교사의 추모식은 엄숙한 분위기속에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저마다 손을 합장한 뒤, 학생들을 구하고 순직한 교사들의 안위를 빌었다. 주변에 서있던 후배 학생들도 저마다 순직자를 추모하기 위해 가던 발걸음을 멈췄다.
故 고창석·故 이해봉 교사들은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출신으로 각 체육교육과 93학번·역사교육과 01학번으로 졸업한 뒤, 교단에 발을 들였다. 지난 2014년 4월 16일 안산단원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이던 그들은 세월호 참사 당시 착용하고 있던 구명조끼를 벗어 학생들에게 건넨 뒤, 결국 순직했다.
이날 추모식을 지켜보던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황지혜씨(24학번)는 ”학교에 입학하고 맞는 가장 큰 행사인데, 본인을 희생해 학생을 지키려 한 선배님들이 존경스럽다“며 ”선배님들의 정신을 본받아 학생들을 위해 더욱 노력하고 싶고, 한편으로는 선생님들을 잃은 사람들이 얼마나 슬펐을지 생각돼 가슴이 먹먹하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장에는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학생회에서 ‘너에게 닿기를’이라는 주제로 세월호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메모를 적어 그림을 만드는 행사가 진행됐다. 학생들은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글을 적어 노란 리본의 그림을 완성시켰다.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학생회장인 체육교육과 김경수씨(19학번)는 ”올해 세월호 참사가 10주기가 됐는데, 추모식을 이어가면서 사범대생으로서 선생님의 책임감을 생각했다“며 ”나중에 교육현장에 가서도 학생들에게 안전교육을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원광대학교 박성태 총장은 추도사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한 뒤, 10번째 봄이 돌아왔다“며 ”이 자리는 희생자와 유가족을 위로하고 그러한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하는 자리다. 팽목항의 슬픔을 온전히 달래지 못한 채 아직도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세월호 추모식을 계기로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되새기는 기회로 삼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참석한 故 고창석 선생님 친구 김상철 선생님(고창 대성중학교 체육교사·51)은 ”고창석 선생님과 임용고시를 함께 준비했던 기억이 떠오른다“고 들고 ”저 또한 5월에 학생들과의 제주도로의 현장체험학습을 준비하고 있는데, 친구가 많이 생각난다. 저도 그 상황에 놓인다면 고 선생님처럼 제자들을 구할 수 있을지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세월호 10주년이고, 이날을 생각하며 모두가 더욱 안전을 생각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며 눈물을 글썽였다.
한편 세월호 10주기에 대한 추모는 전국적으로 이어졌다.
이날 오전 전주시 풍남동 세월호 분향소에서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이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았다.
세 살 손녀의 손을 잡고 분향소를 찾은 송모 씨(54)는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그날 TV화면이 생생하게 기억난다“며 ”손녀가 아직 어려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어린 세대들도 이날의 아픔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