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쌀 1만5000톤 군산항 통해 출항⋯식량위기국 지원

농식품부, 올해부터 식량원조 규모와 국가 확대
군산항 시작으로 목포·울산·부산항서 출항 계획

해외 원조하는 쌀 10만톤/ 사진=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올해 식량원조 규모를 5만 톤에서 10만 톤으로 두 배 확대하기로 했다. 첫 물량은 군산항을 통해 방글라데시로 향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군산항에서 식량원조 규모 확대를 기념하는 출항식을 열었다.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유엔식량원조협약에 가입해 매년 5만 톤의 쌀을 아프리카 등 5개국에 지원해 왔다. 지난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후속 조치에 따라 올해부터는 식량원조 지원 물량을 5만 톤에서 10만 톤으로 두 배 확대하고, 지원 국가도 아프리카 등 11개국으로 확대했다. 식량원조국의 경우 라오스를 제외하고 아프리카 5개국과 방글라데시, 아프카니스탄을 추가했다.

군산항에서 선적된 1만 5000톤의 쌀은 방글라데시로 출항해 8월부터 콕스바자르, 바샨지역 로힝야 난민 116만 명에게 공급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군산항을 시작으로 목포, 울산, 부산항에서 8만 5000톤의 쌀 선적·출항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쌀 생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벼 종자 생산단지를 조성해 수확량 높은 벼 종자를 생산·보급하는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에 정부가 지원하는 쌀 10만 톤은 3개월간 약 260만 명의 난민과 기아가 영양 공급을 받을 수 있는 양이다.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우리나라는 반세기 만에 식량원조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세계에서 유일한 국가"라며 "식량원조뿐만 아니라 K-라이스벨트 사업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역할과 의무를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