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역사에서 전북은 독보적이다. 명창의 반열에 처음 이름을 올린 권삼득과 모흥갑을 시작으로 상당수 명창의 고향이 전북이며, 소리의 바탕인 사설도 ‘가락과 장단의 언어’인 전라도 말이다. 남원은 <춘향가>·<흥부가>·<변강쇠가>의 배경지며, 전주대사습은 명창들의 기량을 겨루는 최고의 무대다. 고창의 신재효(1812∼1884)는 판소리 여섯 바탕을 집대성하며 판소리의 중흥을 꾀했다. 순창도 판소리사에서 뺄 수 없는 고장이다. 김세종·박유전·장재백·장판개 명창을 세상에 낸 곳이기 때문이다.
김세종(1825~1898)은 신재효 집에서 판소리 선생을 했기에 명창을 배출하고 판소리를 널리 알리는 일에 큰 역할을 맡았다. 장재백·김찬업·이동백·이선유 등이 그의 문하이며, 최초의 여성 명창 진채선의 소리 선생도 그일 가능성이 크다. ‘판소리는 창을 주체로 그 짜임새와 말씨, 창의 억양반복, 고저장단이 분명하고 규율이 맞아야 한다.’라는 원칙을 지킨 <김세종바디 춘향가>는 김찬업을 통해 정응민으로 이어지며 보성소리로 정착돼 소리꾼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가 되었다. 동계면 가작리 쑥대미 출신이라고도 하고, 팔덕면에서 나고 인계면에서 살았다고도 한다.
박유전(1834~1904)은 ‘서편제의 아버지’로 불린다. 대원군은 그의 소리에 ‘제일강산’(천하에서 제일)이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으며, 무과 선달의 명예직 벼슬을 내렸다. 복흥면 서마리 마재마을 출신이다.
장재백(1849~1907)은 순창과 남원 일대의 동편제 법통을 전승했다. 일제강점기 최고의 여성 명창인 이화중선·이중선·박록주는 그에게 적성면에서 소리를 배웠다. 따라서 그는 남원의 판소리사에서도 중요하다. 남원을 떠나 구례로 뻗어간 송흥록 가계의 동편제 소리 대신 남원의 소리 맥을 지키고 번성시킨 소리꾼이 그의 후손과 제자들이다. 적성면 운림리 매미터 출신이다.
장판개(1886~1938)는 송만갑의 제자 중 첫손에 꼽힌다. 김채만의 고수로 들어가 소리를 배웠으며 다시 송만갑의 고수로 들어가 소리를 익혀 명창이 되었다. 1904년 7월 참봉 벼슬을 하사받았다. 금과면 연화리 삿갓데마을 출신이다.
유등면이 고향인 최동현(군산대 명예교수)의 『순창의 판소리 명창』(민속원·2023)은 박복남, 배설향, 성점옥, 이화중선, 장득주, 장득진, 장영찬, 주덕기, 한애순 등 스무 명에 가까운 명창을 소개하며 판소리사에서 순창의 공적을 풀어놓았다. 판소리의 해학과 저항, 시대정신은 오랜 세월 순창의 땅이 일궈온 맵고 야무진 기운과 다르지 않았다. 특히, 혹독한 독공으로 득음에 이르고 독창적인 바디로 일가를 이룬 김세종·박유전·장재백·장판개 명창의 삶은 책 이쪽저쪽에서 생생하다.
판소리는 스승에게 전승받은 소리를 그 시대 사람들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변화하며 성장해 온 예술이고, 전통은 후대인에 의해 창조적으로 계승될 때 의미가 있다. 수많은 판을 거듭하며 여럿이 어우러져 이뤄내는 판소리의 굴곡처럼 순창에서 판소리 부흥을 위한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저자의 깊은 애정이 행간 곳곳에서 판을 벌인다. 더질더질.
최기우 극작가는
2000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소설)로 등단했다. 희곡집 『상봉』, 『춘향꽃이 피었습니다』, 『은행나무꽃』, 『달릉개』, 『이름을 부르는 시간』, 어린이희곡 『뽕뽕뽕 방귀쟁이 뽕 함마니』, 『노잣돈 갚기 프로젝트』, 『쿵푸 아니고 똥푸』 등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