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판이야⋯ 장재마을 주민들을 아주 무시하고 있는 거지."
29일 전주시 우아1동 장재마을에서 만난 마을주민 김모 씨(72)는 "3대째 장재마을에서 살고 있는데 생전 이렇게 차들이 많이 다닌 것은 처음이다"고 들고 "어르신들도 많은데 사고 한번 크게 난 뒤에 고치면 무슨 의미가 있겠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전주역 임시주차장 폐쇄 이후 후면주차장을 이용하기 위해 많은 차량이 장재마을 인근 도로를 상시 통행하고 있어 마을 주민들이 사고 위험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좁은 도로폭과 불법주차가 만연한 이면도로에 차량과 보행자가 뒤섞이면서 통행 안전이 위협받고 있지만 별다른 대책 없이 방치되고 있다는 불만이다.
이날 오전 9시 임시주차장 폐쇄 이후 전주역을 이용하려는 많은 차량들이 마을 앞을 지나 후면에 조성돼 있는 주차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10m가 채 안 되는 폭의 도로 양쪽에는 수 많은 차량이 줄지어 주차돼 있었으며, 주차된 차량 행렬은 전주역 후면 주차장 입구 부근까지 길게 이어지고 있었다. 그에 비해 전주역 후면 주차장은 절반 가량의 주차면이 비어 있었다.
후면 주차장 인근 마을길에 차를 대고 역으로 향하던 한 시민에게 기자가 “왜 주차장이 아닌 마을길에 주차를 하느냐”고 묻자 "주차비가 한두 푼도 아니고⋯라며 말꼬리를 흐린 뒤 사라졌다.
실제 전주역 후면 주차장의 주차비용은 기본 30분 이용시 1000원(이후 10분당 300원)으로, 하루 이용시 1만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주차비에 부담을 느낀 일부 역 이용객들은 마을도로에 주차를 한 뒤 전주역을 이용하고 있었다.
현재 전주시 장재마을에는 74가구 391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주민들은 차량 통행이 늘면서 교통사고 위험과 불법주차로 인한 불편을 겪고 있었고 이에 따른 불만은 극에 달해 있었다.
전주시 우아1동 이충희 통장(72)은 "어르신들이 걸어다니는 길목에 주차하는 것도 문제지만 과속운전도 문제"라며 "지자체에서 얼마 전에 과속방지턱 몇 개를 설치하고 가긴 했는데 큰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장재마을 마을회관에서도 주민들이 모여 불만을 토로하고 있었다. 주민 김모 씨(83)는 "마을회관 앞에도 주차를 해놓아 불편한 것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지난번에는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주차장에 들어오는 승용차하고 부딪힐 뻔 했다. 하루빨리 조치를 취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차량 통행이 늘면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상황은 인지하고 있지만 해당 도로는 주차금지선이 그려져 있지 않아 단속에 어려움이 있다”며 “주민안전을 위해 과속방지턱 설치와 주차금지 현수막을 게시했고 현재 전주역, 국가철도공단과 함께 공사기간 주민 불편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