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간척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다색줄풍뎅이'에 대한 철저한 방제를 당부했다.
다색줄풍뎅이는 다 자란 애벌레 상태로 땅속에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5월 하순 성충이 돼 9월까지 작물 잎을 갉아먹는 해충이다. 성충에 등록된 약제가 인삼에 해당하는 1종밖에 없어 애벌레 시기에 방제하지 않으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6월 새만금 간척지 주변에서 다색줄풍뎅이 성충이 대량 발생한 바 있다. 현장 조사 결과 옥수수·고구마 등 식량작물과 감·사과 등 과일나무, 일반 수목류 등에서 피해가 나타났다. 특히 옥수수, 케나프(양삼) 등은 잎 50%가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
애벌레 방제에 등록된 농약은 감자, 고구마, 당근, 땅콩, 인삼 등 16작물에 해당하는 56종이 있다. 애벌레는 토양 속 작물 근처에 살며 뿌리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눈으로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작물을 재배하기 전 토양 살충제를 반드시 살포해야 한다.
작물을 심기 전 작물에 등록된 농약(토양 살충제)을 토양에 처리하면 다색줄풍뎅이 애벌레 밀도를 줄여 성충 피해를 사전에 줄일 수 있다. 작물별로 등록된 약제 관련 정보는 농진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국립식량과학원이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새만금 간척지 주변 작물 재배지를 조사한 결과 ㎡당 다색줄풍뎅이 애벌레 1~20마리가 발견됐다. 최초 발생지 주변 갈대밭에서는 최대 85마리까지 확인됐다.
농진청은 올해도 유사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새만금 간척지 주변에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트랩)와 유인등을 설치해 다색줄풍뎅이를 비롯한 풍뎅이류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계획이다.
농진청 박진우 작물기초기반과장은 "기후변화와 이상기상에 따라 그동안 문제 되지 않던 해충이 돌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간척지에서는 농작물을 재배하기 전 등록된 약제로 토양 소독을 철저히 해 다색줄풍뎅이 피해를 최소화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