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1분기 경제 곳곳 '빨간불'⋯10·20대 등 2700명 지역 떠나

호남지방통계청 '1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
건설수주 전년비 62.3% ↓, 소비자물가 2.9% ↑
수출, 소매판매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권
인구 2715명 순유출⋯20대, 전주시 중심 '심각'

자료=호남지방통계청 제공

올해 1분기 전북특별자치도 주요 경제 지표들이 부진을 면치 못했다. 생산, 소비, 수출, 수입, 건설 수주는 1년 전보다 감소한 반면 소비자물가는 상승해 전반적인 경기 침체를 드러냈다. 특히 인구가 10대와 20대를 중심으로 2700여 명 순유출 되며 청년층의 전북 이탈이 이어졌다.

호남지방통계청이 13일 발표한 '1분기 호남권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전북자치도 인구는 전입인구보다 전출인구가 많아 2715명이 순유출됐다. 지난해 같은 분기(-1764명)보다 53.9% 증가한 규모다. 2020년 1분기(-4273명) 이후로는 분기 기준 최대다.

전북자치도의 인구 유출은 10·20대, 전주시 중심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2705명), 10대(-530명), 30대(-112명) 등에서 인구 유출이 확인됐다. 인구 유입은 50대(262명), 60대(231명) 중심으로 이뤄졌다.

시·군별로는 전주시(-1603명), 익산시(-948명), 군산시(-662명), 남원시(-231명), 부안군(-219명) 순으로 전출인구가 많았다. 반대로 완주군(967명), 순창군(136명)은 전입인구가 전출인구보다 많았다.

이 밖에 1분기 전북자치도 광공업 생산지수는 100.7로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3.8% 감소했다. 1차 금속, 기타 기계·장비, 음료 등의 생산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내수 동향을 엿볼 수 있는 서비스업 생산, 소매 판매도 동반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110.0으로 1년 전보다 0.7% 줄었다.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94.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 감소했다.

건설 자잿값, 인건비 등 공사비 상승 여파로 건설 수주액도 크게 감소했다. 특히 민간 분야 건설 수주가 큰 폭으로 줄었다.

실제로 1분기 전북자치도 건설 수주액은 4564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62.3% 감소했다. 공사 종류별로 보면 건축공사(-73.3%)와 토목공사(-10.2%) 수주가 모두 줄었다. 발주자별로는 민간(-49.36%), 공공(-11.47%) 등의 수주 감소 폭이 컸다.

수출, 수입도 감소세를 나타냈다. 1분기 전북자치도 수출액은 16억 9000만 달러, 수입액은 13억 6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각각 10.3%, 10.0% 감소했다. 특히 수출 감소 폭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대구(20.2%), 충북(13.1%) 다음으로 컸다.

반면 소비자물가는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음식 및 숙박 등 모든 물가가 올라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9%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도 3.3%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