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가 닥치면서 코로나 때보다 전북 관광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물가가 코로나보다 더 무섭다는 말이 나온다.
29일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전북 방문 관광객의 관광 소비는 코로나19(코로나)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4월에는 701억 3382만 6000원에 달했지만 코로나가 발생한 2020년 4월 573억 9694만 3000원으로 집계됐다.
이후 점차 회복하면서 2021년 4월 602억 8572만 원, 2022년 4월 727억 3203만 3000원까지 회복했지만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상황에 2023년 4월 649억 1289만 6000원까지 감소했다.
지난달은 589억 8186만 4000원까지 떨어졌다. 2020년 4월보다는 10억여 원 높고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1년 4월보다는 낮았다.
축제·행사·단체 관광 등이 모두 정지된 코로나 때보다 축제·행사·단체 관광 등이 정상화된 지금 관광 소비가 더 적은 것이다. 지난달 관광객 수는 2020∼2021년에 비해 각각 26.9%, 22.4% 증가한 753만 5484명을 기록했지만 오히려 관광 소비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에 불경기가 이어지면서 재정적 자원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 가장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관광객은 고물가에 따라 가성비에 극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식음료 비용이 크게 뛰면서 전북의 주요 여행 목적인 '식도락' 여행도 점점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코로나 이전 대비 지출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여행지 선택 시 경비를 주 요인으로 생각하는 등 여행을 계획할 때부터 볼거리·먹거리·놀거리 등 소비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비자의 여행비 지출 의향이 하락하면서 국내·해외여행 모두 코로나 전 수준으로 내려갔다. 지난 2∼3년간 폭발적으로 분출됐던 여행 욕구가 한풀 꺾인 데다 고물가로 지출 여력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여행산업 불황 장기화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