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오른 물가 속에 소비자들이 예년보다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소상공인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 5월은 가정의 달이 아닌 '가난의 달'로 불릴 만큼 소비자가 물가 부담을 느끼면서 소비가 급감한 것이다.
가난의 달 악몽이 진정되지 않은 데 이어 전통적인 성수기 7∼8월을 앞두고 쇼핑·여행 비수기인 6월에 접어들면서 소상공인의 시름이 더욱 깊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일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2024년 5월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북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는 전월 대비 0.4p 하락한 59.0, 6월 전망경기지수는 전월 대비 4.9p 하락한 60.7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체감·전망경기지수 모두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소상공인 경기 침체의 주범은 고물가다. 5월 한 달간 어린이날·어버이날·스승의날 등 연이은 기념일에 소비자의 지갑이 굳게 닫히면서 경기가 침체됐다.
실제로 소상공인 10명 중 5명(48.4%)은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경기가 악화됐다고 평가했다. 반면 가정의 달로 인해 경기가 호전됐다고 답한 사람은 3명(28.6%)에 그쳤다.
이번 달도 고물가가 기승을 부리면서 경기가 침체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전망 경기 악화 사유로는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42.9%)을 꼽은 소상공인이 가장 많고 날씨·계절성 요인, 비수기 영향이 뒤를 이었다.
고물가를 비롯한 고금리·고환율 등 3고 여파에 따른 소비 감소는 소상공인 경영 부담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는 노란우산 지급(폐업 사유) 건수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중소기업중앙회 전북지역본부가 제공한 전북 노란우산 가입·지급(폐업 사유) 건수 및 금액 자료 분석 결과 올해 5월 말까지 집계된 노란우산 지급 건수는 1725건에 달했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총 지급 건수는 2019년 2232건, 2020년 2398건, 2021년 2922건, 2022년 2790건, 2023년 3659건이다. 이동이 제약되면서 소비가 줄었던 코로나보다 3고 여파로 몸살을 앓은 지난해 더 많이 지급된 것으로 확인됐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은 소상공인뿐 아니라 중소기업도 괴롭히고 있다.
중기중앙회 전북본부가 발표한 6월 전북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를 보면 전월 대비 0.3p, 전년 동월 대비 1.9p 하락한 74.0다. 전북지역 중소기업 104개 사를 대상으로 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국 평균인 79.4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월과 동일하게 고물가·고금리·고환율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내수 부진 지속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경기 전망에 부정적인 심리가 반영됐다는 게 중기중앙회 전북본부의 설명이다.
한편 지난달 전북 전통시장 체감·전망경기지수 모두 전월 대비 각각 5.0p, 14.2p 상승한 59.2, 67.5로 소상공인과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전국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는 전월 대비 0.4p 하락한 64.4, 6월 전망경기지수는 전월 대비 7.0p 하락한 67.4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