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제'로서 전주 풍남제, 대안 제시할 평가작업 필요성 대두

시, 단오절 맞아 '2024 전주단오 학술포럼' 개최하고 문화콘텐츠 개발 전망 등 모색
김익두 민족문화연구소장 "전주풍남제, 단오제와 공통의 전통 있지만 차별성 살려야"
공동체 축제로서 시민 자발적인 참여도 중요…축제 콘텐츠 구성·평가서

10일 오후 전주 덕진공원내 연화정도서관 연화루에서 열린 '2024 전주단오 학술 포럼'에서 종합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김태경 기자

전주 단오절 풍남제가 정체성을 살린 지역축제이자 명실상부한 무형유산으로서 가치를 드높이려면 공동체축제로서의 관광자원 특성화와 평가과정이 수반돼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됐다.

10일 오후 전주 덕진공원내 연화정도서관 연화루에서는 '2024 전주단오 학술 포럼'이 열려 전주단오의 전통과 가치 계승을 주제로 전문가와 시민들이 머리를 맞댔다.

전주 단오제는 지난 1959년 단오날을 '전주시민의 날'로 정하고 시민축제로 행사를 이어오다가 1967년 풍남문 중건 200주년을 맞아 '풍남제'로 확대해 치러져 왔다. 그러면서 기존의 단오제에 전주시민의 날 행사와 풍남문 중건 기념행사가 종합된 복합적인 성격을 띄게 됐고, 오늘날 시민의 안녕과 한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화합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날 포럼 참석자들은 전주단오제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계승해 무형유산 등재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발제에 나선 김익두 민족문화연구소장은 "전주의 단오제는 기존의 단오날 행사를 바탕에 두면서 현대적 변이를 이뤄가는 지역의 가장 크고 오래된 전통축제"라면서 "앞으로도 전주 단오절 풍남제가 하나의 공동체 축제로서 유지되려면 축제에 대한 최종적인 평가과정이 필수적이며, 시민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행사 주체와 시기, 장소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주 단오제가 영동의 '강릉 단오제', 영남의 '진주 단오제'와 함께 '대한민국 3대 단오제'로 거듭나려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축제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도록 기반 마련에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더불어 전주 풍남제가 '단오제'로서 공통의 전통을 지니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다른 단오제와의 차별성이 확보된 축제이므로, 앞으로 이같은 특성을 더욱 공고히 지켜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주 덕진연못의 문화·역사적 가치를 들어 원형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한 송화섭 전 중앙대 교수는 "전주 덕진공원은 '연꽃이 핀 못'을 의미하는 '연지'로서 전주사람들의 심오한 세계가 깃들어있다"며 "전주의 문화 정체성을 안고 있는 땅이자 전주부성의 전통정원 구조를 간직한 명승지인 덕진연못을 원형으로 복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경미 전주대 연구교수는 관광자원의 관점에서 전주단오제의 장소성과 시간적 배경에 대해 분석했다. 김 교수는 전주 덕진연못 근원을 이해하기 위한 전시자료관, 연못 수질 개선, 연꽃 등 명승으로서의 경관자원 회복, 성지로서 브랜드이미지 활용 등 관광 특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유영대 고려대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류영수 전주대사습청 관장, 위병기 전북일보 수석논설위원, 송현석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가 참여해 전주 단오제의 정체성 확보 방안을 나눴다.

위병기 논설위원은 "전주 단오제의 전통성을 유지하되 변화하는 시대흐름을 반영해 대중성을 살려나가야 한다"며 "다양한 세대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야 전주 단오제를 지속발전시켜나갈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 전주 단오제 만의 킬러콘텐츠 개발, 민간 주도의 행사 운영, 덕진연못의 수질 복원 등 다양한 과제도 제시됐다.

시는 전주단오의 무형유산 등재를 목표로 이날 포럼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을 적극 검토해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