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하던 건설자재 가격이 하향 안정세로 돌아섰지만 시공비 인하효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전망이다.
건설현장의 인력난으로 인건비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상승하면서 시공비 상승요인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10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건자재 상승을 주도했던 철근가격이 지난 해 4월 톤당 100만원에서 같은 해 7월 톤당 80만원 후반대로 주저앉은 이후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협회에서 집계한 지난 4월 기준 고장력 철근(SD400기준)의 톤당 가격은 86만5000원으로 매달 소폭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근 가격이 최고조였던 지난 2022년 톤당 112만8000원이었던 때와 비교하면 14% 가까이 가격이 하락했다.
건설공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레미콘, 시멘트 등 주요 자재들 가격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시멘트는 지난 2021년 10.4%, 2022년 18.6%, 2023년 18.2%가 오른 이후 올해 1분기에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레미콘도 지난 2022년과 2023년 각각 15.7%, 14.8%가 뛰었지만 올 상반기는 3.3% 상승에 그쳤다.
반면 인건비는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건설협회에서 공표한 2024년 상반기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 보고서를 보면 지난 2021년 9월 24만2,931원 이었던 건설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2022년 9월 24만8,819원, 2023년 1월 25만5,426원, 같은 해 9월 26만5,516원으로 지속 상승했고 올 해 상반기는 27만,789원으로 올랐다.
이는 건설현장에 젊은 층의 유입이 크게 줄면서 전국적으로 지난해보다 건설 산업 종사자가 2만 명이나 감소한데다 외국인 노동자도 수급도 여의치 않아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에서도 그동안 외국인 노동자들이 감당했던 알루미늄 거푸집 설치ㆍ해체 작업이나 형틀목수 등 노동 강도가 강한 공종에 외국 노동자들이 줄면서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 해 입국 외국인 근로자는 전년보다 46.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지속되고 있는 고금리 기조로 건설업체들의 금융비용 부담이 늘면서 자재값 안정이 시공비를 인하하는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도내 건설업체 관계자는 "노동강도가 높은 공종에 인력이 없어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오르고 있다“며 ”건자재 가격이 하향 한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금융비용에 인건비 상승으로 그동안 큰 폭으로 뛰어올랐던 시공비를 낮추는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