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휴진 결국 의사가 환자 버리는 행위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대하며 집단 휴진에 나선 의사단체에 한 의사가 “단체 휴진은 중증 환자에게 사형 선고와 다름없다”고 지적해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협의체 위원장은지난 16일 ‘의사의 단체 사직과 단체 휴진은 중증 환자들에게 사형 선고와 다름없다’는 제목의 글을 남겼다. “10년 후에 1509명의 의사가 사회에 더 나온다면 그때 전체 의사 15만명의 1%에 해당한다. 1% 의사 수가 늘어난다고 누가 죽거나 한국 의료가 망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라는 그의 주장은 사뭇 날카롭다. 사직, 휴직으로 환자가 죽는다면 목적이 무엇이든간에 정당화될 수 있느냐고 일갈했다. 10년 후에 증가할 1%의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들이 죽게 내버려둬도 된다는 말이냐며  “후배, 동료 의사들의 결정이지만 의사로서 국민으로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어느 의사 한명의 주장에 불과하지만 그 울림은 클 수 밖에 없다. 정부와 의사단체간 논란을 떠나 어떻게 보면 의료인의 참된 고백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한의사협회가 18일 전국 의사들의 집단 휴진을 예고했으나 다행히 전북에서 휴진에 참여하는 의사나 개원의들의 수는 생각보다 많지않을 듯 하다. 대학병원 의사들도 외래진료만을 연기하고 응급 및 입원환자에 대한 진료는 이어가며 전북 개인병원들의 동참률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병원별로는 전북대병원 250여명의 교수 중 200명(80%), 원광대병원 105명의 교수 중 95명(90%)가 집단 휴진에 동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휴진에 참여하는 의사들도 휴무가 아닌 정상적으로 출근한 뒤, 병원에서 진료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외래진료 이외에 입원환자, 응급실, 중환자실 등의 진료 활동은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전국적으로 의료기관 총 6371곳 중 1463곳(4.02%)만이 18일 집단 휴진에 동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 총 1224곳의 의료기관 중 43곳(3.5%)이 집단 휴진에 동참한다. 의사들의 항변을 이해못하는 바 아니지만 10년 후 단 1%의 의사 숫자가 늘어난다는 이유로 환자를 방치한다면 그게 과연 의료인으로서 옳은 일인지 거듭 되묻지 않으 수 없다. 막무가내식으로 정책을 집행하는 정부의 의료정책에 공감하기 어렵지만 설령 그게 잘못됐다고 하더라도 의료인들이 환자를 버리는 방식의 투쟁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