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을 모아서 조립하고 덧댄다. 자유분방하고 강렬한 붓 터치, 화려한 색감이 캔버스를 가득 채웠다.
멀리서 보면 개성 강한 분위기가 가득하지만, 가까이 가면 캔버스 위에 찢어진 종이를 덧씌워 울퉁불퉁한 질감이 살아난다. 작품 하나하나 강렬한 인상을 풍기며 추상회화의 세계를 보여주는 홍현철 작가의 '미메시스' 이다.
홍현철 개인전 ‘무화(無化)-미메시스를 찾아서’가 28일까지 유휴열 미술관에서 열린다. 월요일 휴관.
‘무화(無化)-미메시스를 찾아서’는 작가가 그토록 찾고자 했던 미학적 자유의 몸부림이 담겨있다.
홍 작가는 작가노트에서 “비워낸다는 것은 우리에게 가벼움과 유쾌함을 선사한다”며 “미학적 자유의 몸부림은 도취이자 미메시스이다. 과거의 시원으로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생명력이자 삶의 동력”이라고 설명했다.
작가는 생명력을 찾기 위해 새로운 영역의 확장을 꾀했다. 재현되는 것(대상)과 재현하는 것 사이의 정태적 관계를 지칭하기보다 오히려 활동의 주체와 대상 사이의 역동적 관계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생명력을 찾아간다. 철학적이고 관념적인 주제이지만 작가는 이를 통해 정형화되고 고착화되기 이전의 원래 상태, 피상적인 아름다움보다 역동적인 에너지를 이끌어낸다.
유가림 유휴열미술관 관장은 이번 전시에 대해 “홍현철 작가는 작품을 통해 인간의 궁극적 삶의 의미를 되찾기 위해 눈에 보이지 않는 원초적 형이상학으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고 말한다”며 “그의 작품은 공백과 여백을 통한 가벼움과 유쾌함을 주는 새로운 조형미를 느끼게 하며 그래서 역동적이며 생명력이 가득하다”고 강조했다.
홍 작가는 개인전 23회를 비롯해 600여 회의 기획초대ㆍ단체전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남부현대미술협회 전북지회장, 한국미술협회 정책연구위 부이사장, 한‧몽국제미술제 운영위원장, 전주문화재단 이사, 전주시립미술관 건립추진위원 등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