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북교육청지부가 전북교육 행정정책 기조 전환을 촉구했다.
노조는 4일 전북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거석 교육감 취임 이후 임기제 공무원을 감축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오히려 숫자를 늘렸다"면서 "예측가능한 합리적 인사나 공정한 인사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노조에 따르면 개방형을 포함한 전북교육청 임기제공무원은 서 교육감 취임 이후 61명에서 70명으로 늘어났다.
또 노조는 "임기제 공무원과 함께 각종 센터와 위원회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며 "학부모지원센터와 같은 민간위탁도 늘어나고 있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임기제, 별정직 공무원, 센터, 위원회 등 자리를 늘려 보은인사로 채운다는 것은 헛말이 아니었다"며 "교육감의 인사 정책에 탕평도, 공정도 무시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서 교육감 취임 이후 임기제 공무원은 9명 증가한 데 그쳤다"면서 "이는 교권보호 변호사와 청소년 활동지도사 등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7월 1일자 일반직 공무원 인사도 지적했다.
노조는 "지난달 20일 5급 사무관 이상의 인사가 발표되지 않아서 수많은 교직원들이 궁금했었다"면서 "교육청은 '학교업무지원센터장 배치 결정이 늦어진 탓'이라고 했지만 사무관 이상 인사 공고에서는 예상대로 특정인이 4급으로 승진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석연찮은 인사를 따졌다.
특히 "5급에서 4급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최저연수 4년인 필수적인데 승진자는 4년을 이틀만(6월 28일) 남겨두고 승진했다"면서 "과연 이것이 서 교육감이 후보 시절 말하던 예측가능한 합리적인 인사인지 되묻고 싶다"고 힘줘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업무지원센터장 배치 결정 지연 및 교육감의 국외출장으로 5급 이상 인사발령을 위한 인사위원회 회의가 지난달 28일 예정되어 있었다"며 "전날인 지난달 27일 지방공무원 임용령 개정으로 5급 승진소요 최저연수가 4년에서 3년으로 단축됐다. 당일(지난달 28일) 인사위원회를 거쳐 임용권자가 승진 임용 등 인사발령을 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와 함께 노조는 "교육청의 너무 많은 교육사업으로 인해 교육 노동자들이 업무 과중을 호소하고 있다"면서 "교육 노동자들의 희생을 강요하며 이뤄지는 정책은 올바르지 않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