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를 고도(古都)로 지정하기 위한 시민운동 펼쳐져

13일 후백제시민연대와 후백제선양회 토론회 개최
전주시와 전북특자도에 민관학 준비위원회 결성을 촉구하는 결의문 채택
경주, 공주, 부여, 익산에 이어 지난 3일 경북 고령도 지정돼
4개 고도에 정부에서 1조2000억원 지원

지난 13일 전주기접놀이전수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후백제시민연대 제공
지난 13일 후백제시민연대와 후백제선양회 회원들이 답사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후백제시민연대 제공

후백제의 왕도인 전주를 고도(古都)로 지정하기 위한 시민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후백제시민연대(대표 조상진)와 후백제선양회(회장 강회경) 회원 50여명은 지난 13일 전주기접놀이전수관 세미나실에서 토론회를 갖고 전주를 고도로 지정하는데 앞장설 것을 결의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견훤고성이었던 남고산성을 비롯해 인봉리, 종광대, 가락대(천주교 전주교구청) 등을 답사하고 오후에는 ‘전주의 후백제 고도 지정과 시민의 역할’을 주제로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국전통문화대 이도학 명예교수가 ‘전주 후백제 고도 지정 당위성’을, 원광대 문이화 연구교수가 ‘백제왕도 익산 고도 시민활동과 전주시민의 역할’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이 교수는 “후백제는 전북을 비롯해 전남, 충남, 충북, 경북, 경남, 부산 등 한반도 남부의 3분의 2를 차지했던 고대국가로서 당시 혈통이 좌우하는 폐쇄적 신분사회를 철폐하고 중세사회로 넘어가는 긍정적 역할과 함께 기회와 참여의 다양성을 확대했다”면서 “전주는 고도로 지정되는 게 마땅하다”고 밝혔다. 또한 “후백제의 왕도였던 전주는 나성(羅城)과 배후산성을 갖춘 기획도시로서 고도의 조건을 충분히 갖췄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 교수는 “익산은 2004년 금마-왕궁권역이 고도로 지정되고, 2015년 미륵사지 등 백제역사유적지구가 공주, 부여와 더불어 세계유산에 등재됐다”며 “주민협의회 구성과 고도육성 기반구축사업 등 시민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발표가 끝나고 참석자들은 전주시와 전북특별자치도가 고도 지정을 위해 민관학 준비위원회를 결성할 것과 국가유산청이 고도 지정에 협조해 줄 것 등 5개항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한편 고도는 ‘고도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04년 경주, 공주, 부여, 익산 등 4개 도시가 지정되었으며 지난 3일 20년 만에 대가야의 중심지 경북 고령이 5번째 고도로 지정되었다. 정부는 사업 종료 시까지 익산에 3418억원 등 4개 도시에 1조2000억원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