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북 소비자물가 2.7% ↑⋯농산물·석유류 가격 강세

2.7% 오르며 물가 상승률 소폭 반등
집중호우로 채소 전달보다 크게 올라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달 전북 소비자물가가 석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보였다. 다만 상승률은 전달보다 소폭 올랐다.

정부는 이달부터 다시 2% 초중반대 물가 둔화 흐름이 재개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과일류, 석유류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물가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4일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전북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1(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올랐다. 4월 3.0%에서 5월 2.8%, 6월 2.5%로 점차 안정화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소폭 반등한 것이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전달 상승률(2.9%)보다 0.2%p 오른 수치다.

이번 물가 상승은 농·축·수산물 영향이 컸다.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올라 물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사과와 배는 1년 전보다 각각 33.1%, 151.4% 상승해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돼지고기와 국산 소고기도 각각 7.1%, 7.6% 올랐다.

공업제품도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7.3%, 10.1% 상승했다. 통계청은 국제유가 상승과 유류세 인하 폭 축소가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또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올랐다. 신선식품 중에서도 신선과실이 13.8%로 크게 상승했다. 신선채소와 신선어개는 각각 3.6%, 4.1% 하락했다. 다만 신선채소의 경우 전달 대비로는 8.0% 상승했다.

신선채소 품목별로는 무(25.6%), 오이(27.5%), 배추(35.3%), 상추(66.6%), 열무(71.9%), 시금치(94.6%) 등이 크게 올랐다. 여름철 집중 호우 영향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