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전북도의회, 정부 굴욕의 구걸 외교 비판

사도광산 유산 등재 관련 전북도의회 현 정부 비판 성명
정부, 강제징용·강제노역 아픈역사 불구 자발적 노동 일본에 찬성표 던져
일본 사도광산 일컬어 채굴과 제련기술 연속성 보여주는 뛰어난 사례로 소개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박정규 문화안전소방위원회 위원장 등 의원 일동이 7일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찬성한 한국정보에 대한 비판 성명을 읽고 있다./전북일보

전북특별자치도의회가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찬성한 우리나라 정부에 대해 ‘구걸의 외교’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전북도의회는 정부가 일제 식민지 당시 강제로 징용돼 노역을 했던 국민들의 아픔을 뒤로하고 정부가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협조한 대가를 치를 것이고 경고했다.

전북도의회는 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발적 식민주의에 포섭된 윤석열 정부’를 주제로 성명을 냈다.

도의회는 “식민지배가 종식된 지 1세기가 지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도 식민주의 굴레에 갇혀 신음하고 있다”며 “우리는 아직도 탈식민을 향한 노력에 진땀을 흘리고 있지만 식민주의의 공고한 벽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사도광산은 태평양 전쟁 당시 군사물자에 필요한 광물을 캐는 광산이었고, 이곳에서 수많은 한국인 노동자가 목숨을 건 강제노역에 시달려야만 했다”며 “오늘날까지도 이곳 사도광산은 오욕과 아픔으로 점철된 일제 식민지 역사를 드러내는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도의회는 “그러나 일본 정부는 강제노역의 그늘을 은폐시킨 채 자국 산업화의 영화를 드러내는 홍보수단으로 열을 올리고 있다”며 “일본이 세계유산위원회에 보낸 공식 성명을 보면 사도광산을 일컬어 19세기 중반까지 이어졌던 수공업 방식의 채굴과 제련기술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매우 뛰어난 사례라고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은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협조한 21개 회원국 모두에게 깊은 사의를 표한다고 했는데 여기에는 한국정부도 포함돼 있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 감정선을 침범하는 몰역사적인 행태까지 서슴치 않으면서 일본에 구애의 손길을 내미는 것은 외교적 노력이 아니라 ‘외교적 구걸’이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이번 사안은 일본을 향한 윤석열 정부의 외교적 구걸의 끝판왕으로 기억될 것으로 자발적 식민주의에 포섭된 정부는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에 협조한 역사적·정치적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날 전북도의회 성명에는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정의당 의원이 참여했으며, 국민의힘 소속 의원은 명단에서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