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대학 왜 이러나…통합이 답이다

요즘 전북지역 대학에 악재가 잇달고 있다. 바짝 긴장하고 혁신에 매진해도 모자랄 판에 도덕적 해이가 극에 달하고 있다. 32만명의 개인정보가 털리는가 하면 대학총장이 사기 혐의로 구속되고 교수들의 성추행 소식도 심심치 않게 들린다. 이대로 가다간 문 닫는 대학이 속출할 상황인데도 대학 구성원들이 정신을 차리지 못해 걱정이다.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 등을 고려해 도내 대학들이 통합 등 구조조정에 선제적으로 앞장섰으면 한다.

지금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로 비상이다. 지난해 국내 대학생수는 236만명(전문대 포함)으로 10년 전인 2013년 287만명에 비해 51만명이 감소했다. 특히 지방대 4년제의 경우 2013년 132만 명에서 지난해 107만명으로 18.9%인 25만명이 줄었다. 문제는 앞으로 감소율이 더 가팔라질 것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수는 44만명인데 같은해 출생아수는 23만명에 그쳤다. 이들이 20년 후 대학입시를 치를 경우 입학생수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지방 4년제가 가장 위험하다. 도내에는 현재 4년제 10개, 전문대 8개 등 18개의 대학이 있으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문을 닫아야 할 처지다.

이처럼 대학 소멸의 쓰나미가 몰려오는데도 도내 대학들은 너무나 안이하게 대처하고, 도덕성마저 땅에 떨어진 상태다. 우선 전북대는 지난해 글로컬대학 30사업에 선정돼 기세를 올렸으나 지난달 통합정보시스템이 해킹 당하는 폭탄이 터졌다. 1947년 개교이래 77년간의 재학생과 졸업생, 평생교육원생 등 32만명의 개인정보가 통째 털린 것이다. 지난해 디도스 공격으로 17시간 동안 일부 전산망이 마비되는 큰 불편을 겪었음에도 소홀히 대처한 것이 원인이다. 또 전북대 50대 교수는 대학원생 3명을 강제추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런가 하면 군산대 이장호 총장은 정부지원 연구비 22억원을 유용하고 연구원 성과금도 가로챈 혐의로 9일 구속됐다.

이들 사건 사고는 도내 대학들이 신입생 부족과 극심한 취업난, 재정난 등으로 고사위기에 처해있는 가운데 일어난 일이다. 여기에는 국립대의 책임이 크다.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경쟁력 확보라는 책무가 주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번 기회에 환골탈태를 위해 전북대와 군산대, 전주교대가 통합하고 문제있는 부분은 도려내는 결단이 있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