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쓰레기 수거체계 변경 혼란, 보완대책을

찜통더위의 기세가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전주시민들이 생활쓰레기 문제로 이중의 고통을 겪고 있다. 전주시가 쓰레기 수거체계를 이달 1일부터 ‘전면 권역별 책임제’로 변경했다. 이는 지난해 7월 도입한 ‘권역별 청소책임제’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지역 전체를 기존과 같이 12개 권역으로 나누면서, 대행 8개 권역과 직영 4개 권역으로 구분해 각 권역별 담당업체 책임하에 권역 내 청소와 모든 성상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이다. 한개의 동은 한개의 업체가 책임 수거해 특정 지역 수거업체 파악 및 책임소재가 명확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새로운 수거 방식을 시행한 지 2주가 지났는데도 시민들의 불만과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음식물쓰레기 관련 민원이 많다. 여름철 음식물쓰레기가 제때 처리되지 않고 쌓이면서 악취와 위생 문제로 시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전주시에 따르면, 변경된 쓰레기 수거체계 시행 후 2주 동안 총 6696건의 쓰레기 처리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 하루 평균 무려 478건의 민원이 발생한 셈이니 상황이 예사롭지 않다.

변경된 쓰레기 수거체계를 본격 시행하기에 앞서 전주시는 “지난 1년 동안 제기된 여러 문제점을 보완해 새로운 방식을 도입해 시행하는 만큼, 보다 안정적인 청소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다만 시행 초기 쓰레기 수거에 약간의 혼선이 있을 수도 있으니 시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바란다”고 했다.

전주 시민들이 겪고 있는 지금의 불편과 혼선이 전주시가 예견한 단순한 초기 시행착오인지, 아니면 예상치 못한 구조적인 문제점인지 명확하게 가려내야 한다. 사실 전주에서는 최근 수년간 전주 종합리사이클링타운 운영 문제와 맞물려 쓰레기 대란이 해마다 반복되면서 시민들의 원성이 그치지 않았다. 게다가 이번에는 극한 폭염 속에 발생한 문제여서 시민들의 고통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예전과는 다른 문제로 쓰레기 대란이 되풀이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도 적지 않다. 우선 음식물쓰레기 처리 차량을 늘려 시민 민원부터 조속히 해결하고, 새로운 수거방식에 일부 문제점이 발견된다면 서둘러 보완대책을 마련해 시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