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폭락에 정부 45만톤 공공비축 매입⋯작년보다 5만톤 ↑

가루쌀 4만톤, 친환경쌀 1만톤 포함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쌀 45만톤을 사들이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공공비축 매입 물량보다 5만톤 증가한 규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공공비축제도는 양곡 부족으로 인한 수급 불안, 자연 재해 등 식량 위기에 대비해 식량작물을 비축하는 제도다. 지난 2005년 도입 이후 연간 35만톤 내외를 매입하다 2022년부터 식량 안보를 강화하고 가루쌀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규모를 확대했다.

올해 공공비축 매입 물량은 올해산 40만톤과 작년산 5만톤 등 모두 45만톤이다. 올해산 40만톤에는 가루쌀 4만톤, 친환경쌀 1만톤이 포함돼 있다. 특히 친환경쌀은 특등과 1등급만 매입해왔으나 올해부터는 매입 대상을 2·3등급까지 확대한다. 또 친환경벼에 대해선 일반벼 대비 가격을 5%p 추가 지급할 계획이다.

매입 가격은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결정하고, 매입 직후 농가에 중간정산금으로 포대당(40㎏ 벼 기준) 3만원을 지급한다.

매입 품종은 다수확 품종을 제외하고 삼광, 새청무, 일품 등 각 시군에서 사전 예시한 2개 품종(전북은 3개)이다. 이외의 품종을 출하했다가 적발되면 5년간 공공비축미 출하를 할 수 없다.

매입 기간은 산물벼(수확 후 건조하지 않은 벼)는 8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고, 포대벼(수확 후 건조·포장한 벼)는 10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