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인구의 완주군과 66만 인구의 전주시를 하나로 묶는 행정통합 문제가 전북지역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완주-전주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가 내년 3월 치러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찬·반을 결정할 주민 투표의 최대 승부처는 ‘삼례·봉동·이서·상관·용진·소양·구이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완주군 7개 읍면은 전주와 인접해 있으며, 상대적으로 완주군 내 도심지역으로 불리는 곳으로 주민투표에 참여하는 선거인의 82%가 집중돼 있다.
찬성측이나 반대측 모두 사활을 걸어야 할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완주군과 전주시는 지난 1935년 이전까지만 해도 1000년 넘게 하나의 지역이었다. 신라시대 이후 천년 고도를 자랑하던 전주는 단일 지명을 유지했고, 일제 강점기에 전주와 완주로 강제로 분리됐다. 그간 두 지역에서는 ‘다시 하나로 합쳐 역사적 정통성과 자긍심을 찾고 경쟁력을 회복해야 한다’는 통합의 움직임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지난 2009년 양 지역의 통합이 시도됐지만 당시 정부가 시행한 여론조사에서 전주시의 찬성률은 88.4%였던 반면 완주군은 35.8%에 그치면서 무산됐다.
2013년 역시 완주군 주민투표 결과 반대가 55.3%(2만343표), 찬성이 44.6%(1만6412표)로 통합이 무산됐다.
13년만에 치러질 이번 완주-전주 통합 주민투표는 직전 선거 결과를 복기해 새 정책을 제안해야만 찬성측과 반대측 모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3년 주민투표 당시 선거인수는 6만 9381명이었다. 이 가운데 3만 6933명(53.23%)이 투표에 참여했다. 당시 본투표는 2만 2234명, 사전·부재자투표는 1만 4699명이었다.
완주군은 모두 13개 읍면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를 투표인수로 분류해보면 봉동읍이 1만 8694명으로 가장 많았고, 삼례읍 1만 2514명, 용진면 6361명, 소양면 5634명, 이서면 4921명, 구이면 4839명, 고산면 4206명, 상관면 3908명, 화산면 2578명, 비봉면 1873명, 운주면 1859명, 동상면 1043명, 경천면 951명 순이다.
이 가운데 생활권이 비슷한 전주 인근 5개면은 용진과 상관, 이서, 소양, 구이면으로 이들 투표인수(2만 5663명)를 합하면 전체 투표인수의 37%에 달한다.
찬성측에서 볼 때 투표인수를 토대로 통합청사 이전부지 확정 및 관광레저특화단지, 첨단산업특화단지, 농생명특화단지 등의 단계별 정책 제안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통합 후 바뀔 현실을 주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본인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완주-전주 통합을 자신의 치적을 쌓는 수단으로 삼는 일부 정치권의 개입을 막아야 주민들의 현명하고 공정한 주권행사가 가능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향후 지방선거에 나설 정치인들이 자신의 기득권을 챙기기 위해 여론을 호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