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내년부터 산후 도우미의 개인부담금을 90%까지 지원하고 산후조리 비용을 일반 산후조리원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추진하는 등 저출생 대책을 확대한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29일 열린 제414회 전주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 답변을 통해 “현재 전주시는 첫째는 중위소득 160%이하, 둘째는 소득기준과 관계없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소득기준과 관계없이 모든 산모·신생아에게 본인 부담금의 90%를 지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같은 이유로 “소득기준을 상향해 지원하는 것보다는 서비스 비용 중 본인부담금을 지원하는 것이 소득이 낮은 가정과 더 많은 수의 출산 가정에게 혜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 전주시 출생아 수는 2720명으로 이중 1543명의 산모가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했다.
건강관리 서비스는 도우미가 가정에 방문해 청소와 목욕, 식사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시는 모든 산모와 신생아의 본인부담금을 지원할 경우 8억 원에서 10억 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현재 20만 원씩 지원하는 산후조리 비용의 사용처 확대도 이뤄진다. 내년부터는 전북특별자치도 조례 개정에 따라 기존 일반 병의원과 약국 등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던 산후조리 비용이 산후조리원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우 시장은 이날 공공 산후조리원 설립 추진계획에 대해서도 답변했다.
그는 “현재 남원시와 정읍시가 공공 산후조리원 설립을 추진중이지만, 전주시의 경우 민간 산후조리원 9곳의 평균 공실률이 31%로, 산후조리 비용 지원 형태가 바람직하다”면서도 “공공 산후조리원 실효성에 대해서도 면밀히 검토한 후 전북자치도와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