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그룹 전북은행이 금융위원회가 실시하는 2024년 지역재투자 평가에서 지방은행 부문 최우수 등급에 선정됐다. 도내에서 지역재투자 최우수 등급은 전북은행이 유일하다. 그동안 고금리 기조 속에서 도민들을 상대로 이자장사를 해 왔다는 눈총을 받아왔으나 이번에 이러한 이미지를 씻고 반전을 이룬 셈이다. 지역재투자 하나만으로 평가할 수는 없지만 전북은행이 지역의 대표 금융기관으로서 도민과 함께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지역재투자 평가는 금융사의 지역 내 자금공급, 중소기업지원, 서민대출 지원, 금융인프라 환경,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 2020년부터 실시해 왔다. 평가결과는 지자체와 교육청 금고 선정기준 등에 활용된다. 전북은행은 올해 주영업권인 전북지역 최우수를 비롯해 대전지역 우수를 차지해 종합결과 최우수 등급을 기록했다.
지역재투자 평가는 15개 국내은행과 12개 상호저축은행(자산 1조원 이상)을 대상으로 최우수, 우수, 양호, 다소 미흡, 미흡 등 5등급을 부여한다. 올해 전체적인 평가 결과는 시중·특수은행분야에서 아이엠뱅크(옛 대구은행)와 하나은행·기업은행·농협은행이, 지방은행분야에서 전북은행·부산은행·광주은행·경남은행이, 그리고 상호저축은행분야에서 JT저축은행 등 모두 9곳이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반면 전북은행은 지난해 19개 시중은행 중 6.63%포인트에 달하는 가장 높은 예대금리차를 기록해 도민들을 상대로 이자 장사를 한다는 비판이 일었다. 전북자치도의 2금고 자격 여부까지 거론되었다. 이에 대해 전북은행은 타 은행들이 취급을 꺼려하는 신용평점 하위 50%이하의 중·저신용자와 국내은행들이 취급하지 않는 외국인을 위한 대출 등 포용적 금융 때문에 대출 금리가 높게 산출되었다고 반박한 바 있다. 실제로 전북은행은 지난해 새희망홀씨, 햇살론15, 햇살론 유스, 햇살론뱅크 등 정책서민금융 취급실적에서 8273억원을 공급해 전체 은행권 중 신한은행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실적을 달성했다.
어쨌든 전북은행은 국내 매출액 상위 1000개 기업 중 전북에 본사를 둔 8개 기업 중 하나다. 또 매년 순이익의 10% 가량을 지역 사회공헌사업에 지원하고 있다. 전북은행이 지역재투자 최우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과 상생 발전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