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억원 대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전주 유치 결정, 마지막 단계만 남았다

국가유산청 광주와 전주 최종후보지 2곳 결정, 지난 27일 현지실사
전주, 후백제 왕도 역사성과 상징성, 유적 연계성 최적의 입지 요건 평가
후백제문화권 지방정부협의회 구성, 역사문화권 정비특별법 개정 이끌어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조감도/사진=전주시 제공

 

430억 원대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전주 유치가 사실상 마지막 단계만 남았다.

전주시는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핵심사업이기도 한 후백제 조사연구기관인 센터를 유치하고 건립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1일 시에 따르면 국가유산청은 지난달 초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 후보지 공모를 실시했으며, 전주시를 비롯한 지자체 4곳이 지원했다.

시는 약 2주간에 걸친 서면심사 등 사전평가를 거쳐 광주와 함께 현장실사 최종 후보 대상지 2곳에 포함됐다. 유산청은 지난 27일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건립부지를 선정하기 위한 후보지 현지실사도 실시했다.

유산청은 9월 중 프레젠테이션 심사를 거친 뒤 늦어도 내년 초에는 최종 후보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센터는 후백제의 역사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연구·전시하는 총괄 기구다. 전체 사업비는 450억 원가량이며 2030년 개관을 목표로 전액 국비로 지어진다. 

센터는 시가 도심 곳곳에 산재한 문화유산을 한 데 엮어 현대적 의미로 재창조해 관광적 가치를 높이는 민선8기 대표 공약사업인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중심축이기도 하다.

전주는 ‘삼국사기’와 ‘고려사’, ‘동국여지승람’ 등 다양한 문헌에서 견훤왕이 전주로 도읍을 정하고 ‘백제’ 건국을 선포해 37년 동안 통치했던 역사적 사실이 기록돼 있어 역사성과 상징성을 모두 확보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특히 시가 센터 건립 후보지로 신청한 낙수정 부지의 경우 인근에 동고산성과 후백제 도성벽, 후백제의 왕실 사찰로 추정되는 낙수정사지와 우아동사지 등이 위치해 후백제 역사 문화를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는 최적지로 손꼽힌다.

이밖에도 전북은 총 90곳에 달하는 후백제 역사문화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광주는 2곳, 전남에 12곳 뿐이다. 

건립부지 주변에서는 현재 낙수정 새뜰마을 도시재생사업과 승암산 인문·자연경관 탐방로 조성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어 시는 향후 센터가 건립되면 이를 연계해 후백제 역사 문화를 기반으로 한 후백제 예술마을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센터가 건립되면 '왕의 궁원 프로젝트' 뿐만아니라 시 곳곳에 있는 후백제 유적을 보호·연구·활용하고 타 지역 후백제 문화유산과 연계해 후백제 역사 문화를 대한민국의 주요 역사 문화 자원으로 발돋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북자치도도 전주시의 노력과 발맞춰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시민들도 전주에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가 건립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고 있다. 후백제 시민연대와 후백제 선양회 등 민간 단체들은 서명 운동을 통해 시민 3000여 명의 의지를 모아 유치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앞서 시는 후백제 역사 문화 규명을 위해 후백제문화권 지방정부협의회(전주시, 논산시, 문경시, 상주시, 완주군, 장수군, 진안군)의 구성을 주도하고, 협의회의 회장도시로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후백제’를 포함하는 법령 개정을 이끌어 내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우범기 시장은 “후백제의 왕도 전주에 센터가 건립될 수 있도록 타 지역과 차별성 있는 전주만의 건립 논리와 지원책을 제시할 계획”이라며 “전주시민의 열망을 모으고, 전문가와 학회, 정치권, 전북특별자치도와 긴밀히 연계해 꼭 유치에 성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