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다산의 호학(好學), 호고(好古)의 정신을 본받아야...

김도영 (재)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문화재학박사

<논어(論語)> 첫머리인 '학이(學而)'편에, “배우고 때에 맞춰 실천하면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不亦說乎. 학이시습지불역열호)“는 문구가 나온다. 여기에서 공자는 배워서 얻어낸 지식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즐거움이야말로 큰 희열이라며 ‘호학(好學)’을 제시한다. 공자에게 있어 ‘호학’은 장차 인간 심연의 변화와 인격수양을 이루어 성인(聖人)에의 성취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공자의 ‘호학(好學)’은 ‘호고(好古)’를 근본으로 한다. '술이(述而)'편에서, 어떤 제자가 “선생님은 태어날 때부터 모든 것을 다 아셨습니까?”라고 묻자,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니다. 옛 것을 좋아하고 그것을 구하려고 민첩하게 공부한 사람이다.(我非生而知之者 好古 敏以求之者也. 아비생이지지자 호고 민이구지자야)”라고 대답한다. 즉 옛 것에 대한 지적호기심이 강하여 부지런히 학문을 추구해서 알아낸 사람이지, 타고난 천재는 아니라면서 제자들에게 ‘호고’에 대한 분발을 촉구했다.

종신토록 <논어> 읽기를 권장했던 다산 정약용(1762~1836)은 공자 못지않게 ‘호학’과 ‘호고’를 중요시 여겼다. 그는 귀양지에서도 방바닥에 닿은 복사뼈에 구멍이 세 번이나 뚫릴 정도로 정진하면서 무려 182책 503권의 책을 펴냈고, 2,500여수의 시를 남긴 대유(大儒)이자 문학가이다. 이러한 다산이 공자의 ‘호학’에 대한 주자의 주석에 의미 있는 해석을 달았는데 요약하면, “학(學)이란 가르침을 받는 지(知)이고, 습(習)이란 학업을 익히는 행(行)이다. 그러므로 시습(時習)이란 시시때때로 익히면서 지행(知行)이 함께 나아가는 것이며, 열(說)이란 마음이 유쾌함이다.”로 정리할 수 있겠다. 배운 그대로 행위가 뒷받침되면 기쁘고 유쾌해진다는 ‘락지자(樂之者)’ 곧 즐기는 자의 자세를 지향했던 것이다. 

한편, 다산은 회갑을 맞이하여 쓴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광중본(壙中本)에서, “착함을 즐기고 옛것을 좋아하며, 행위에 과단성이 있었다.(樂善好古而果於行爲. 낙선호고이과어행위)”라고 자평하면서 옛것을 좋아했노라(好古) 기술하였다. 그리고 1808년 유배지 전남 강진에서 장남 학연에게 보낸 서간문에서는, 시를 지을 때는 중국 고사(故事)만을 인용하는 것은 볼품없는 행위라고 지탄하면서 우리나라의 각종 문헌에 실린 고사도 인용해야 좋은 시가 될 것임을 주지시키면서 ‘우리 것에 대한 호고’를 강조하였다. 이는 주체적 ‘호고’를 통해 자아정체성과 민족의식을 뚜렷이 확립했던 다산의 실학자다운 면모를 보여준 대목이다. 이처럼 공자와 다산은 ‘호학’과 ‘호고’의 정신으로 답답한 현실을 개선하고 개혁하여 새로운 학문과 문화의 재창달을 부단히 도모하였던 것이다. 

2024년에 새롭게 출범한 전북특별자치도는 예로부터 전통문화가 살아 숨쉬는 대표적인 예향이다. 다행스럽게도 작년 9월에 <전통문화산업진흥법>이 17년 만에 국회에서 통과됨으로써 이제는 보존과 계승 차원을 넘어 산업화와 세계화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음은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다. 

앞으로 공자와 다산의 ‘호학’과 ‘호고’의 정신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장기적 비전을 재정립하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K-한류의 본고장으로 특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김도영 (재)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문화재학박사